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앙고고연구 제4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철기~원삼국시대 마노제 구슬의 유통

The Trade of Carnelian Beads during the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DOI : 10.20292/jcich.2025.46.67

본고에서는 한반도 출토 마노 구슬에 대해 유통의 측면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노 구슬의 형태를 분류하고 전개양상을 검토하였으며 종류별 제작지와 분포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12종의 마노제 구슬류는 원석 산지, 제작 유적, 재지적 형식, 제작기법, 분포 양상, 당대의 문헌기록 등으로 보아 주로 북방지역(몽골/러시아 극동/중국 동북)에서 제작된 ‘북방계’와 남방지역(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 제작된 ‘남방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남지역에서 주류를 이루는 다면형 구슬은 남방산 구형 구슬의 재가공품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마노제 구슬류가 한반도로 유통되는 과정에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기철기시대에는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역으로부터 북방계 마노 구슬이 유입되지만, 漢이 군현을 설치한 이후에는 중국 본토와의 교역망을 통해 낙랑군에 다양한 남방계 마노 구슬류가 집중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며, 한편으로는 북방계 마노 구슬류 또한 활발히 유입된다. 그리고 원삼국 후기에는 군현 세력이 약화되고 삼한 및 예가 성장하여 마노 구슬의 주요 소비지가 된다. 중서부, 서남부와 동남부지역은 대중교역을 통해 남방계 마노 구형 구슬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반면, 중부지역에서는 북방계 마노 구슬류가 소량으로 유입되어 삼한과 예계 문화권 간 뚜렷한 유통망의 차이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e networks of carnelian beads during the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paper, the types of carnelian beads were classifi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ach period and region were review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rigin and distribution by type. The carnelian beads excavated in Korea were assumed to be imported from the northern region(Mongolia/Russian Far East/Northeast China) and the southern region(South Asia/Southeast Asia) based on the geological sources, production sites, regional shapes, manufacturing techniques, distribution patterns, and historical records. And the multi-faceted beads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seems to be reprocessed products of the spherical beads from South Asia/Southeast Asia. The distribution of carnelian beads in the Korean Peninsula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time. In the Early Iron Age, northern carnelian beads flowed from northeastern China, mainly to the southwestern region. But after the establishment of Lelang(樂浪) by Han(漢), a large amount of southern carnelian beads began to flow through the trade network of China. In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Lelang had been weakened, and Three Han(三韓) grew to become major consumers of the southern carnelian beads. On the other ha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seems that there was the northern carnelian bead network.

Ⅰ. 머리말

Ⅱ. 마노제 구슬의 분류와 변천 양상

Ⅲ. 마노제 구슬의 제작지

Ⅳ. 마노제 구슬의 유통 과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