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4세기 고려 동북부 지역에서 여진의 이동 배경으로 다양한 생태 환경과 생계 활동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14세기 동아시아, 특히 동북 지역에서는 원나라와 명나라의 왕조와 고려와 조선이 일어난 중심 공간이었다. 여러 국가와 민족이 공존하는 복잡한 장이었다. 여진족은 원나라의 지배 아래 다양한 생업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원나라의 쇠퇴와 갈등은 그들의 삶을 불안정하게 만들었으며 이동을 촉진하였다. 특히, 14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의 기후 변화는 여진족의 남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후환경 변화 속에서 사냥을 통한 생계 활동은 생존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여진족이 원나라에 제공한 매[해동청]의 수급이 어려웠던 것 역시 이들의 이주 배경이 되었다. 여진족의 남하는 고려 사회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고려 공민왕대는 특히 쌍성총독부를 중심으로 동북지역 확보에 주력하며 개혁을 추진하던 시기로, 자연스럽게 여진족과 접촉하게 되었다. 여진족의 이주는 약간의 갈등을 야기하였으나 대체로 고려와의 평화로운 관계를 통해 생활 안정을 가져왔다. 고려로 남하한 여러 여진족은 다양한 생업활동을 펼쳤다. 일부는 조선의 건국을 돕기 위한 군사적 배경이 되었고, 수렵이나 농사를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찾기 위해 더욱 남하하였다. 동북의 산림 지역은 당시 높은 이익을 주는 초피 생산에 적합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여진족이 점차 고려를 계승한 조선 사회에 흡수되는 영향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various ecological environments and changes in livelihood activities that caused the movement of aftershocks in the northern region of Goryeo in the 14th century. In East Asia in the 14th century, especially in the northeast region, it is a central space where the dynasties of the Yuan and Ming dynasties and Goryeo and Joseon took place. It was a complex space where several countries and peoples coexisted. Jurchen engaged in various economic activities under the control of the Yuan Dynasty. However, the decline and conflict of the Yuan Dynasty unstable their lives and promoted movement. Since the mid-14th century, climate change in East Asia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Jurchen's migration to the south. Livelihood activities through hunting have dealt a fatal blow to survival amid climate environmental changes. The difficulty of supply and demand of hawks that Jurchen provided to the Yuan Dynasty also led to their separation. Jurchen's southward movement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Goryeo Dynasty. Goryeo was a time when King Gongmin promoted reforms, especially focusing on securing the northeast region centered on the Ssangseong General Government General, and naturally came into contact with Jurchen. Jurchen's migration brought conflict and stability of life through peaceful relations. Several Jurchen who moved south to Goryeo conducted various livelihood activities. Some became military bases for helping the foundation of Joseon, and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to find a stable life through hunting or farming. Forest areas in the northeast region were suitable for producing stone marten, which made high profits at the time. Jurchen was gradually absorbed into the Joseon society that succeeded Goryeo.
머리말
1. 기후 변화와 여진의 생업 환경
2. 여진의 이주와 생태환경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