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 37
리터러시 연구 16권 1호.jpg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며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의 주제 또한 다변화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문화교육이 적극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일반목적 학습자 대상 문화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을 분석하여 문화의 주제 및 내용, 제시 방법, 상호문화교육 반영 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이후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교육 현황과 만족도, 요구 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현장에서 반영할 수 있는 문화교육의 방향을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요 교재의 문화 영역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교사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교육 현황 및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 years have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Korean-language cultural education studies,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field, and the scope of these studies has diversified. However, cultural education has not yet been actively addressed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it first reviews the necessity of and existing research on cultural education for general-purpose learners. It then analyzes the cultural components of Korean-language textbooks, examining the topics and content related to culture, presentation methods, and inclus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Furthermore, it conducts a survey of Korean-language teachers and learner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language classroom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demands.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oposes seven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classroom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ritically analyzes the cultural content of major textbooks for general-purpose Korean-language learners, identifies issues, and proposes measure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specific status and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1. 서론

2.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3.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교재 내 문화 분석

4. 한국문화교육 현황 및 요구 분석

5.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문화교육 개선 방향

6.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