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문화유산 분야에서 XR 기술의 최신 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활용 가능성을 전망한다. 이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환경에 초점을 맞춰 XR 경험을 성공적으로 재도입한 디지털 헤리티지 사례 연구를 분석하였다. 현재 해외에서는 다중 참여형 XR 기술을 통해 개인화된 경험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와 같은 주요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전의 시공간적 장벽을 해결하여 대중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향상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 참여를 촉진한다. 따라서 미래 디지털 헤리티지 분야에서 XR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 발전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원칙을 통합하는 전략 구축이 필수적이다. 여기에는 XR 기술이대중의 참여 향상, 접근성, 포용성, 지속 가능성을 위한 문화유산 전문가, 기술자, 정책 입안자 간의 학제간 협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디지털 헤리티지에서 XR 기술의 미래를 위해서는 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몰입감 있고, 의미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 경험을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XR technologies in cultural heritage and explores their future applications, emphasizing their potential to overcome physical barriers and enhance public accessibility. By analyzing successful case studies of XR implementation in digital heritage, this research highlights key innovations, such as personalized experiences and contactless interfaces, which contribute to sustainable and inclusive engagement. To fully realize the potential of XR in the future of digital heritage, this paper advocates for strategies that integrate advanced technological developments with user-centered design principles.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mong cultural heritage professionals, technologists, and policymakers is essential for creating immersive, meaningful, and equitable experiences through storytelling, bridging the gap between cultural preservation and public engagement.
목차
1. 머리말
2. 문화유산과 XR 콘텐츠
3. 디지털 헤리티지 관련 XR 콘텐츠 사례
4. XR 기술의 발전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공간주권 측면에서 시민유산문화마을 인증지표 제안: 안동시를 중심으로
- 박물관 교육 콘텐츠로서의 공간탐험형 애플리케이션의 효용 연구: 트윈세대의 자기 주도성을 중심으로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2호 목차
- 스토리텔링을 통한 마술의 대중적 변화와 예술적 도약: 마술 TV 프로그램 <더 매직스타>를 중심으로
- 라이브 커머스 특성이 소비자의 감정반응과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 PAD-FLOW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 공연예술의 국제문화교류 전략 제언: 해외 관람객의 관람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적용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의 역할 증대와 산림문화자산의 전시·교육 콘텐츠 연구
- 영문 학술지 『트랜잭션(Transactions)』의 발행과 근대기 한국 생태연구의 대두: 1900-192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 중국 한류 팬덤의 퀴어식 해석: K-POP 보이 그룹 NCT의 퀴어베이팅(Queerbaiting) 현상을 중심으로
- ‘AI프로필이미지’를 증명사진과 구별짓기: 파생실재(hyperréel)와 스토리콘텐츠의 관점으로
- (Spirit) Photograph as a Narrative Gadgetry in Shutter Films
- 문학을 기록하는 음악: 윤동주 창작음악제 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 SF영화 <로봇8호>의 인공지능 캐릭터 신체 재현
- 최신 디지털 헤리티지 사례를 통해 본 XR 기술의 전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항일음악’ 분석
- 문화원형론, 지역문화콘텐츠론, 그리고 얼과 사람됨: 개념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중심으로
- 게임 이용자의 팬덤 문화와 콘텐츠 액티비즘: MMORPG <로스트아크>를 중심으로
- 상징조형물을 통한 도시 이미지의 예술적 재현: ‘원이엄마’ 조형물 <아가페상> 비판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