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선의 선상 여가 활동 협소 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 가상현실(VR)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row Space Design method for the Leisure Activities in the Cargo Ship : Focusing Design case on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10, No. 1(통권 34권)
-
2025.03525 - 534 (10 pages)
-
DOI : 10.46248/kidrs.2025.1.525
- 이용수 3

키워드
초록
최근 들어 선사의 선원 중심의 운영 정책에 따라, 선원들을 위한 여가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선실 디자인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디자인 기법으로는 좁은 선실 공간을 최적화 디자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디자인 및 고객과의 협의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재 방식의 문제점은 공간을 체험적으로 검토하기가 어려워 건조가 완료된 이후 초기 설계 도면과 실제 사이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많은 기술 발전을 가져온 체험형 가상현실(VR) 기술을 통하여 주요 선실의 여가 활동 공간 디자인 사례를 설계단계에서 체험적으로 검토한 사례와 그것이 선실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기존 방식보다 경제적이며 고객과 소통 측면에서도 효과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In recent days, the importance of crew living space design that can provide leisure activities for seafarer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eafarer-centered operation policy of the shipping company has fleet of cargo ships. However, it is not easy to optimize and design a narrow space with a traditional design techniqu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esign and review method with customers. The problem of the current method is that it is difficult to examine the space empirically,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design drawing and the actual result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refore, through the experiential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that has brought about a lot of technological advances in recent days, the case of experiential review of the leisure activity space design of the main space in the design stage and its effect on the space design were investigated, and its value was studied. As a result, it is more economical than the current method and will be to improve effectively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목차
1. 서론
2. 선실 디자인 도구적 관점
3. 선실 공간적 관점
4. 고객 협의 사례에 대한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