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만 출신의 학자 Kuan-Hsing Chen의 “방법으로서 아시아”라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국내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Chen의 저서 <Asia as method>의 주요 아이디어와 핵심 개념들을 검토한 후 교육 연구의 구체적 사례로써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 맥락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Chen의 “방법으로서 아시아” 아이디어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교육적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연구와 관련한 비교대상국과 사례, 비교 단위를 다양화하고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비서구의 맥락, 역사, 인식 등에 대해 상호참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다문화 현상의 특징을 탐구하고 이에 기반하여 맥락적인 다문화교육 이론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 연구자 및 실천가들의 비판적 자기 해체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정책 문서 등 다문화 관련 텍스트에 내재된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결론] 결론에서는 Chen의 “방법으로서 아시아” 아이디어가 아시아의 구체적 맥락에 터해 갖는 의의와 한계를 논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decolonizing domestic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the idea of “Asia as method” proposed by Taiwanese scholar Kuan-Hsing Chen.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s Chen's idea of “Asia as method” and its key concepts to draw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Result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Chen's idea of “Asia a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t highlights the need to diversify target countries and comparative cases from a comparative education perspective. Seco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Korea and to develop context-sensitive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critical self-reflection by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s essential. Fourth,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Eurocentrism embedded in multicultural texts, such as textbooks and policy documents.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hen's “Asia as method” in the context of Asia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탈식민주의 이론의 전개와 발달
Ⅲ.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와 관련 개념들
Ⅳ.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국내 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