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실생활에서 한국인 원어민 화자들이 사용하는 ‘진짜’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다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질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한국어 말하기 교재가 한국어 구어적 특성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말하기 교재와 통합 교재를 비교하여 구어적 상황(맥락, 참여 대화자의 구성, 관계 등)의 실제성, 교재의 대화문에 구어적 특성의 반영 정도, 말하기 교재와 통합 교재 간의 구어적 특성 반영 여부의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교재 모두 구어적 상황에서 제한적인 구성을 보였으며, 구어적 특성의 반영 빈도는 통사적 특성의 요소들이 가장 높았고, 화용적 특성, 음운적 특성, 어휘적 특성이 그 뒤를 이었으나 통사적 요소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말하기 교재는 담화·화용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활발한 상호 작용, 담화 표지, 감정 표현 및 의사소통 전략을 강조했으나, 음운적·어휘적·통사적 특성은 통합 교재가 더 잘 반영하였다. 담화·화용적 특성이 대화 참여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할 때, 말하기 교재에서 이를 잘 구현한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대화 발생 맥락과 장소, 대화 참여자의 구성과 구어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어민 화자들의 말뭉치 연구를 통해, 구어체 어휘나 구어 문법에 대한 수집 및 외국인 학습자들의 말하기 실태 등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 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재에서의 구어적 특성 반영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가 ‘진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상과 교육 현장의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향후 말하기 교재와 텍스트 구현 방향에 기여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hich originated from foreign learners’ questions about learning the “real“ Korean language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daily life, ai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Korean speaking textbook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Korean. The purpose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se textbooks and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speaking textbooks and integrated textbook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authenticity of spoken contexts (e.g., situations, participant composition, and relationships), the degree to which spoken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extbook dialogu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spoke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textbooks.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types of textbooks showed limited composition in spoken contexts. Among the spoken characteristics, syntactic elem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resented, followed by pragmatic, phonolog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though the frequency of the latter thre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yntactic elements. Additionally, speaking textbooks effectively reflected pragmatic features, emphasizing active interaction, discourse markers,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However, phonological, lexical, and syntactic features were better represented in integrated textbooks. Considering that pragmatic features are crucial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understanding sociocultural contexts, it is noteworthy that speaking textbooks effectively incorporated these elements. Nevertheless, there remains a need to include a greater variety of dialogue contexts/locations, participant compositions, and spoken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real-life usage. This requires continued research on native speakers' language corpora to collect spoken vocabulary and grammar, as well as ongoing studies on the speaking behaviors of foreign learners to make the findings applicable to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on of spoken characteristics in Korean textbooks, this study hop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ideal of foreign learners who wish to learn the “real” Korean language and the reality of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peaking textbooks and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texts.
목차
1. 들어가기
2. 이론적 검토
3.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구어적 특성
4. 나가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