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데이터의 분포에 대한 중학생의 통계적 추론 탐색: 점그림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통계 수업 재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about data distribution: Restructuring 7th grade statistics instruction with dot plots

  • 82
학교수학회 표지.PNG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점그림(dot plot)을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통계 단원을 재구성한 다음 이를 실제 정규 수업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데이터에 대해 어떻게 추론하는지 그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한 교실을 사례로 선정하여 총 10차시에 걸친 통계 수업의 실제를 관찰함으로써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점그림으로 표현된 두 집단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수업 활동에 주목하여 학생들이 데이터를 지각하는 방식을 살펴본 결과, 데이터를 개별 사례(case-value), 분류(classifier), 전체(aggregate)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 간에 데이터를 지각하는 서로 다른 방식은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교실 속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사회통계적 규범을 조형하는 것으로 진전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tudents engage in data reasoning by reconstructing the middle school 7th grade statistics unit using dot plots, which are not covered in the South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implementing this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To achieve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7th grade middle school classroom, where variou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of a ten-session statistics lesson. By focusing on classroom activities that involved comparing datasets represented as dot plots, the study examined how students perceived data.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ived data at three levels: as case-values, as classifiers, and as an aggregate. Furthermore, the differing ways in which students perceived data evolved through classroom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sociostatistical norm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