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수학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Interest toward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5권 6호
-
2025.03151 - 166 (16 pages)
-
DOI : 10.22251/jlcci.2025.25.6.151
- 106
목적 본 연구는 중등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교육(이하 AI교육)을 도입하는데 수학교사의 AI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AI교육을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중등수학교사의 AI교육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현직 수학교사 120명을 상대로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검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비율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징 및 SoCQ 하위 단계별로 강도 백분위 점수를 확인하였고, 중등수학교사의 배경 변인별 AI교육 관심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t-test 및 ANOVA를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사의 전반적인 관심도는 1단계(정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 하위 관심 단계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는 성별과 인공지능(AI) 연수 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교급과 교직 경력, 인공지능(AI) 적용 경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수학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공지능(AI)기기 1인 1기기 활용 가능 환경과 교실 내 보관이 가능한 환경에서 0단계(관심없음)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수학교사의 AI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기기의 관리책임에 따른 관심도도 0단계(관심없음), 4단계(결과), 5단계(협력)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높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연구의 결과에 따라서 중등수학교사가 가지고 있는 AI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AI교육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AI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 학교 환경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interest toward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AI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necessary measures for effectively applying AI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find out the level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120 of them were surveyed online using the Stage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test tool.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intensity percentile scores for each sub-stage of the SoCQ. Additionally, t-tests and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interest in AI education amo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Result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interest of mathematics teachers was highest in the first stage(Information), and it largely showed high in the lower level of interest. Second, the level of inter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AI training experi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evel, teaching exper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experience. Third, the level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was generally high. There were statistically prominent differences in all stages except for stage 0(Unconcerned) in an environment where one AI device can be used per person an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devices can be stored in the classroom, and the level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device management responsibility also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in all stages except stage 0(Unconcerned), stage 4(Consequence), stage 5(Collabora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se result, step-by-step training for AI education targeted at teachers is required to be conducted as a way to enhance their interest towards AI education, and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easily utilize AI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