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인간 삶의 궁극적 목표로 보았다. 그는 행복이 단순히 감각적인 즐거움이 아니라, 덕과 이성을 통한 자아실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철학적 개념을 음악 연주자의 행복에 관한 테마로 삼아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피아노 연주자의 행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기반으로 피아노 연주자가 음악을 통해 개인적인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는 동시에, 청중과의 교감을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형성하는 기쁨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강조한 덕과 관계를 통해 실현되는 행복의 개념과 일치한다. 그러나 피아노 연주자의 삶은 고도로 전문적인 훈련과 공연 준비, 무대 위에서의 긴장감 등 다양한 도전 과제를 동반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피아노 연주자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은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Aristotle viewed happiness as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He argued that happiness is not simply a matter of sensual pleasure, but is related to self- realization through virtue and reason. This paper will empirically analyze the happiness of pianists based on Aristotle’s theory of happiness, using this philosophical concept as a theme for the happiness of musicians. In this paper, based on Aristotle’s theory of happiness, we will study the joy of pianists gaining personal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music, while forming social bond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happiness realized through virtue and relationships emphasized by Aristotle. However, the life of a pianist is accompanied by various challenges, such as highly professional training, performance preparation, and tension on stage. It is academically valuable to analyz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happiness of pianists.
1. 서론
2. 융합연구의 필요성
3.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4. 피아노 연주자의 행복론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