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션스쿨 고등학생의 종교성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ligious Orient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Mission Schools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미션스쿨 고등학생이 지닌 내적 종교성향과 외적 종교성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수행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미션스쿨의 역사·문화적 측면을 다룬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실제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자원을 중심으로 종교성향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떤 구조적 경로를 통해 기여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 : ○○ 지역에 위치한 미션스쿨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여 종교성향(내적·외적),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직·간접 경로를 검증하였으며,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도 실시하였다. 내적 종교성향은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를 모두 유의미하게 증진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쳤다. 반면, 외적 종교성향은 두 매개변수를 저해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간접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무종교 학생 중 내적 종교성향 문항 점수가 높은 경우, 긍정심리자본이 더 높게 나타나, 공식적 종교 소속이 없어도 초월성이나 내면적 믿음이 학교생활 적응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 결과, 미션스쿨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내면화된 신앙을 함양하고, 심리적·사회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구축·활용하는 노력이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종교성향,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기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과 상호작용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단연구나 혼합연구 방식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Purpose of Research :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8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Mission School located in the ○○ reg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ssess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religious orientation (intrinsic/extrinsic),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dditionally,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potential differences by religious affiliation. Research Content and Method :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significantly enhanced bo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exerting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Conversely,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diminished these mediators, resulting in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adjustment. Notably, nonreligious students who scored high on intrinsic orientation items exhibited strong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ggesting that a sense of transcendence or inner belief can bolster school life adaptation even in the absence of formal religious affiliat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genuine, internalized faith and fostering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within Mission Schools. Longitudinal and mixed-method research designs are recommended for deeper insight into how religious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interact over time to shape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