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교육연구 제5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보드게임 적용 역사 수업 방안 탐구

Exploring the use of board games to teach historical thinking in the history classroom

DOI : 10.16976/kahe.2025..51.73
  • 9

현행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실 수업의 목표는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추구하는 것이다. 교육 분야에 게이미피케이션을 도입하고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개발, 활용하는 교수학습방안 역시 학생 참여형 수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무관하지 않다. 교육용 게임 콘텐츠로서 보드게임의 유용성은 역사 수업에서도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테면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촉진함으로써 역사 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는 역사 콘텐츠의 다양함을 인지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일 것이다. 이 연구는 특히 보드게임의 교육적 유용성을 토대로 보드게임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에 주목했으며, 연구자의 관찰한 바를 토대로 보드게임을 적용한 역사 수업의 역사 교육적 가치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페이퍼 미들에이지’라는 보드게임을 편집하고 경기도 수원시 소재 A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보드게임을 적용한 역사 수업을 실행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관찰한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발휘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역사적 자료의 활용’과 ‘역사적 개념’ 사용 능력을 발휘했으며, 또 자신이 경험한 보드게임의 구성품과 게임 효과를 역사 교과서와 교차 검토함으로써 중세 유럽의 역사와 관계되는 주요 사건의 시간적 위치와 시대상을 인식하는 등 역사적 탐구를 수행했다. 둘째, 보드게임을 매개로 학습자는 ‘구조적 상상’과 ‘감정이입적 이해’ 능력을 발휘했으며, 또 자신이 경험한 보드게임의 게임 효과와 승리 조건을 상기하며 중세 관습법의 실질적인 의미를 새롭게 해석했다. 동시에 보드게임에 반영된 농노의 사회적 위치와 생활 방식을 기타 역사적 자료와의 교차 검토를 통해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감정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보드게임을 적용한 역사 수업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발휘하고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goal of classroom teaching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to pursue various types of student-engaged lesson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introduce gamification to the education field and develop and utilize educational game content that considers learners are also related to the direc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usefulness of board games as educational game content is expected to be realized in history classes. For example, they can increase engagement in history lessons by stimulating learners' interest and excitement, and they can also be effective in introducing learners to the diversity of historical content based on historical fact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board game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the historical thinking of learners based on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board games,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value of history classes using board games based on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edited a board game called “Paper Middle-age” to be applied to history lessons, and practiced history lessons using the edited board game on second-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uwon, Gyeonggi-do.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following trends in learners' historical thinking. First, the learners demonstrated their ability to use ‘historical evidences’ and ‘historical concepts’ and conducted historical research by cross-checking the components and game effects of the board game they experienced with the history textbook to recognize the temporal location and period of major events related to the history of medieval Europe. Second, through the medium of the board game, the learners exercised their abilities of ‘structural imagination’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ed the practical meaning of medieval common law by recalling the game effects and victory conditions of the board game they had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they understood the social position and lifestyle of serfs reflected in the board game through cross-examination with other historical evidences to understand their emo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story lessons using board game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xercise and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Ⅰ. 머리말

Ⅱ. 연구 설계 및 방법

Ⅲ. 역사 수업 교재로서 보드게임의 구성 항목과 요건

Ⅳ. ‘페이퍼 미들에이지’ 보드게임의 역사 교육적 의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