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생의 학교적응과 부모의 성취압력 간의 종단적 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연구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 verification study

  • 22
지식과교양17.PNG

학업성취는 언제나 학령기 아동들과 부모들에게 관심의 대상이다. 마찬가지로 학업성취 압력과 학교적응 문제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아동패녈 12차(2019)에서 15차(2022)까지의 패널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변인들의 4년간 상관분석의 특징은 학교적응과 성취압력의 변인 간에는 전체적으로 크고 유의미한 상관은 보이지 않으나, 변인 내에서는 약간의 작고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둘째, 구조모형의 검증 결과는 설정한 12개의 경로 중에서 6개의 경로만 유의미하였다. 추정 결과 현재의 학교적응과 성취 압력은 각 변인 내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만, 각 변인 간에는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았다. 즉 자기회귀효과는 있지만, 교차지연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와 정책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Academic achievement is always a topic of concern for school-age children and their parents. Likewis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issues are also of interest. Accordingly, this study test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 on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Panel data from the 12th (2019) to 15th (2022) Korean Children’s Panel were analyzed by setting up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over 4 years showed that there was no overall large or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school adaptation and achievement pressure, but some small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within the variables. Seco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that only 6 paths out of the 12 paths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current school adaptation and achievement pressu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variable, but did not exert influence on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re was an autoregressive effect, but no crosslagged effect.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are mad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5.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