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노동교육의 실천유형과 동학 - 노동조합의 교육적 실천을 중심으로

Typology and Dynamics of Korean Labor Education

  • 26
평생교육학연구 제31권 제1호.jpg

본 연구는 한국 노동교육의 실천유형과 그 동학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노동교육에 대한 기존의 담론들은 노동교육을 영역 혹은 패러다임으로 개념화함으로써 노동교육의 대안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기여해왔지만, 노동교육의 실재를 포착하는 데는 한계를 내재해 왔다. 이 연구는 ‘조직의 교육적 실천’이라는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노동조합의 교육적 실천태를 드러내고자 한다. 질적연구방법에 기반한 본 연구의 데이터는 노동운동의 리더 및 교육활동가 31명에 대한 인터뷰, 노동교육활동 참여관찰, 노동교육 관련 문서를 포함한다. 분석결과, 노동조합의 교육적 실천은 1) 비형식교육 제공모델, 2) 사회운동학습 촉진 모델, 3) 학습지원시스템 모델, 4) 풀뿌리 교육활동 조직화 모델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각 유형의 특징, 역사적 형성과정, 사례, 성과와 한계를 구체화했다. 이러한 노동교육 실천들은 관념적 교육론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198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뿌리 위에서 서로 교차하고 경합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발전해왔다. 노동교육의 실천유형과 그 동학에 대한 분석은 노동조합이 향후 조직적 차원에서 교육활동을 기획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운동 조직 전반의 교육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

This research aims to typologize various practices of labor education and capture their dynamics in South Korea. Existing discourses on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have framed it as fields or paradigms.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inherent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realities of labor education. This study employs a new analytical framework, “organizational educational practice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orean trade unions. My research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rawing on data from interviews with 31 labor movement leaders and educational activists, participant observations of labor education, and relevant documents. The analysis identifies four types of trade union educational practices: 1) non-formal education provision model, 2) social movement learning promotion model, 3) learning support system model, and 4) grassroots education organizing model. These labor education practices did not emerge from a single pedagogical theory but rather evolved through a dialectical process, which has intersected and competed within the democratic union movement since the 1980s. Analyzing the types and dynamics of these practices can help guide future trade union educational activities. Also,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educational efforts of broader social movements in civil society.

Ⅰ. 서론

Ⅱ. 역사적 맥락: 민주노조운동과 노동교육

Ⅲ. 노동교육의 개념과 분석틀

Ⅳ. 연구방법

Ⅴ. 한국노동교육의 실천유형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