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사 변인이 KFL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원어민과 비원어민 수업에 따른 태국 초급 학습자의 사례

The Impact of Teacher Variab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KFL Learners

  • 94
한국어 교육 연구 제24호.jpg

이 연구는 KFL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원어민과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수업 효과를 비교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양적 연구를 위해 2024학년도 태국의 A대학교 소재 세종학당에서 한국어 초급과정 4개 학급 일반목적 학습자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성취도 평가 점수를 수집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통해 집단 간 전체 성취도 평균 점수는 물론 언어 기능별 성취도 점수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여기에 성취도 시험에 응시한 인원 중 55명이 응답한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성취도 분석의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분석의 결과, 원어민 교사 여부가 KFL 학습자의 전체 성취도 평균 점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언어 기능별 성취도 점수의 분석에서는 듣기와 말하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교사가 진행한 발음 및 회화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가 비원어민 교사보다는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concerns the effectiveness of Native and Non-native Korean Speaking Teachers’less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FL learners. In this quantitative study, the subjects were 64 KFL learners in 4 basic Korean language courses at a King Sejong Institute located within A University in Thailand and their scores of achievement test collected in school year 2024. They were used to empirically verify the deviations in overall and language skills’ achievement scores among groups with independent samples t-test approach.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64 studen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hen, for qualitative research,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completed by 55 out of the 64 students who took the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 variable, whether the teacher was a native or non-native speak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achievement scores of KFL learners but on Korean language skills’ achievement scor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stening and speaking. Additionally, the satisfaction with pronunciation and speaking classes taught by native-speaking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non-native-speaking teac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