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s of Homeless Men Aiming to Exit Homelessnes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5권 8호
-
2025.0463 - 81 (19 pages)
-
DOI : 10.22251/jlcci.2025.25.8.63
- 5

목적 본 연구는 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법적 보호를 받는 노숙인을 포함한 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상황적 구조 진술과 함께 일반적 구조 진술도 기술하였다. 결과 심리상담 과정에서 노숙인들이 경험한 내용은 ‘탈노숙에 도움이 되는 상담’, ‘상담의 어려움’, ‘인생 회고를 통한 정서적 경험’, ‘상담을 통해 변화하는 자신’의 네 가지 주요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과정을 4단계로 정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노숙인의 자립 과정을 지원하는 심리상담의 구체적인 경험과 단계를 제시함으로써, 심리상담이 탈노숙 과정에서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함께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s of homeless men to support their journey out of homeless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homeless individuals, including both those under legal protection and those without i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ith both situational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systematically presented Results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s of homeless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counseling that facilitates transitioning out of homelessness,’ ‘challenges in counseling,’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life retrospection,’ and ‘personal transformation through counseling.’ Based on these findings, a four-stage psychological counseling process for supporting the transition out of homelessness was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sitive impact of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self-reliance of homeless individuals by presenting specific counseling experiences and stages aimed at assisting their transition out of homelessness. The study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