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장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의 자녀 양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ic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Survived Domestic Violence

  • 24
23520250507194916502 (1)-1.pn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동안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가 결혼 후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정서적 변화를 탐색하고, 가정폭력 트라우마가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엄마와 자녀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핵심 요인을 분석하여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 형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이 성장 과정에서 겪은 가정폭력 경험과 자녀 양육 경험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일기, 메모 등)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자녀 양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내적 갈등과 심리적 치유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길바닥에 던져진 돌멩이’, ‘폭력의 어둠 속 몸부림’, ‘대물림된 폭력의 그림자’, ‘치유를 향한 새로운 꿈’이라는 네 가지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은 성장기 가정폭력 경험이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엄마의 내적 여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결론 가정폭력을 경험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기에 앞서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고 치유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자녀에게 전이하지 않기 위한 심리적 치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폭력의 대물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폭력 경험을 극복하고 건강한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experienced by mothers who have suffered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s they raise their own children after marriage.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hood domestic violence trauma on parenting and identify key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healing and recovery of both mothers and children, ultimately seeking ways to foster a healthy parent-child relationship.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n autobiographical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including personal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parenting experiences, and journal entries. Based on these data, the study explored the internal conflicts and psychological healing processes influenced by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in the parenting journey. Results Four essential themes emerged from the findings: “Pebbles Cast on the Road,” “Struggling in the Shadows of Violence,” “Inherited Shadows of Violence,” and “A New Dream Toward Healing.” These themes illustrate the impact of childhood domestic violence experiences on parenting and vividly depict the inner journey of mothers striving to overcome these influences. Conclusions Understanding and healing their psychological state is essential for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before raising their children. This study proposes psychological healing and coping strategies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negative effects to children. Furthermore, it suggests practical and actionable methods to break the cycle of violence. The findings provide a valuable foundation for overcoming the consequences of domestic violence and fulfilling healthy parental rol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