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콘텐츠 확장 관점에서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연구: 문화적·서사적 변형과 선호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urkish Remakes of Korean Dramas from a Global Content Expansion Perspective: Focusing on Cultural and Narrative Transformations and Preference Factors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중동문제연구
- 제24권1호
-
2025.0471 - 109 (39 pages)
-
DOI : 10.52891/JMEA.2025.24.1.71
- 35

본 연구는 글로벌 콘텐츠 확장 관점에서 2011-2025년 2월까지 방영된 53편의 한국 드라마 튀르키예 리메이크작의 특징을 분석하면서 문화적·서사적 변형과 선호 요인을 중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는 단순 번역을 넘어 문화적 융합과 재창조 과정을 보여준다. 문화적·서사적 변형은 튀르키예 방송 환경과 시청자 정서를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산업적으로는 안전한 선택, 경제적 이점, 수출 가능성이, 수용자 측면에서는 한국 드라마의 독창성, 문화적 유사성, 정서적 공감대가 주요 선호 요인이었다. 특히 튀르키예 리메이크작이 유럽, 중동, 아시아 등으로 재수출되는 현상은 한국 드라마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전략적 방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ultural and narrative transformations and preference factors by analyzing 53 Turkish remakes of Korean dramas aired from 2011 to February 2025 from a global content expansion perspective. The Turkish remakes of Korean dramas demonstrate a process of cultural fusion and recreation beyond simple translation. The cultural and narrative transformations were strategic choices considering the Turkish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viewers' sentiments.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safe choices in competitive environments, economic advantages, and export possibilities were major preference factors, while from the audience perspective, the originality of Korean dramas, cultural similarities, and emotional resonance were key factors. Notably, the phenomenon of Turkish remakes being re-exported to Europe, the Middle East, Asia, and other regions is significant as it can serve as a strategic measure for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dramas.
Ⅰ. 서론
Ⅱ. 튀르키예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작의 문화적· 서사적 변형
Ⅲ.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선호 요인: 산업적 관점과 수용자 관점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