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거문고 구음 중 외술 타현과 관련된 ‘덩-둥-등, 당-동-징’의 모음이 국어 음운론적으로 어떤 의의가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구음도 국어로 표현되는 이상 구음의 형성과 변화에는 국어의 여러 특징들이 영향을 미쳤을가능성이 높다. 특히 모음 조화를 중심으로 한 국어 음운론이 거문고 구음의 모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 글의 논의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구음의 형성 과정에서 국어의 여러 현상들이 어떻게 관여되어있는지이다. 이전의 구음은 현재와 달리 5개였는데, 모음이 선택되는 데에는 차자 표기의 제약, 모음 조화 등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을 차자 표기로는 적기 어려우며 ‘ㅡ’ 대신 ‘ㅣ’가 포함된 구음 목록이모음 조화를 더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5개의 구음 목록에 ‘’과 ‘등’이 빠진 데에는 이런 사정이 있다고 해석된다. 후대에 ‘ㅡ’가 포함된 ‘등’이 구음 목록에 추가되는 데에도 단모음과 관련된 사실들이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현대에 6개로 정착된 구음의 목록에는 과학성과 체계성이 담겨 있다. 우선, 대현과 유현의 구조적 대립이 모음 조화에서의 모음 대립이라는 언어적 현상으로 투영되어 있다. 또한 대현과 유현에 각각 음성 모음과 양성 모음이 배당된것은 현의 재질이나 음역의 특징을 고려할 때 모음들의 음감과 잘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대현과 유현의 구음에서 ‘ㅓ’와‘ㅏ’가 포함된 ‘덩’과 ‘당’이 제일 앞에 제시된 것은 모음의 기본 주파수라는 음향학적 특징에 비추어 볼 때 과학적근거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현대 거문고 구음의 모음에서는 체계적인 언어적 질서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nguistic significance of the vowel usage in gueum systemof geomungo, focusing especially on the oesul tahyeon patterns: ‘deong-dung-deung,dang-dong-jing.’ Since gueum is expressed using Korean language, its formation andevolution have likely been influenc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In particul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Korean phonology centered on vowelharmony is closely related to the vowels of the geomungo gueum.The discussion is divided into two main sections. The first examines the influence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formation of gueum.Historically, there were five gueum in the past,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y wereinfluenced by restrictions on the transcription of borrowed characters, hanja, andKorean vowel harmony. Specifically, it is difficult to write the syllable ‘dʌng()’ withhanja, and the system of gueum that includes ‘i(ㅣ)’ instead of ‘eu(ㅡ)’ more effectivelyreflected the vowel harmony. The later addition of ‘deung(등)’, which includes ‘eu(ㅡ)’,is also related to phenomena of the monophthong.In modern times, the system of gueum, which has been stabilized into six, is scientificand systematic. First, the musical contrast between daehyeon and yuhyeon is reflectedin the vowel opposition by vowel harmony. Second, the distribution of dark vowelsto daehyeon and bright vowels to yuhyeon aligns well to the material of the stringsand pitch. Lastly, the arrangement of ‘deong(덩)’ and ‘dang(당),’ which both containvowels associated with relatively lower tongue positions, at the beginning of systemfrom each daehyeon and yuhyeon has scientific basis in terms of acoustic phonetics.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odern gueum of geomungo reflects highly structuredlinguistic system.
Ⅰ. 머리말
Ⅱ. 거문고 구음 표기의 역사
Ⅲ. 거문고 구음 표기의 실제
Ⅳ. 구음의 모음에 대한 국어사적 접근
Ⅴ. 구음의 모음에 반영된 음운론적 특징
Ⅵ.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