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소비에트 시대 중앙아시아 고려인 ‘백만 거부 콜호스’ 현상 - 우즈베키스탄 <북극성> 콜호스를 중심으로

The Phenomenon of the 'Millionaire Kolkhoz' of the Korean people in Central Asia during the Soviet era : Focusing on the Kolkhoz of Uzbekistan <Polar Star>

  • 0
동방학지 제210집.jpg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 백만 거부 콜호스’의 선두주자로 명성을 날린 <북극성> 콜호스는 1929년 극동에서 처음 조직되어 1930년대 중반 이미 ‘선진 콜호스의 하나’로 그 잠재력을 드러냈다. 1937년 우즈베키스탄의 타쉰켄트주로 이주한 뒤 194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걸쳐 <북극성> 중앙마을은 전원도시 형태로 발전하고 ‘문명한 사회주의적 소도시’라는 별칭을 얻었다. <북극성> 콜호스가 대규모 농장으로서 경제적 성공을 거두게 된 주요 계기는 김병화 관리위원장의 선임, 수익성 높은 주력 작물이 될 목화 재배, 부실한 이웃 농장들의 통합으로 인한 경작지 확대, 대형 농기계의 다수 구입으로 크게 진척된 기계화, 그리고 작업반별 독립채산제의 도입 등이었다. <북극성>은 농업에 익숙하고 단일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노동력, 헌신적이고 역량이 탁월한 지도자, 효율적 노동조직과 농장원들에 대한 적극적 노동 동기 부여, 견고한 농업기반시설 확충과 과학적 영농법 적용, 그리고 고려인의 인정 투쟁 등을 통해 높은 생산성을 올리고, 그 수익으로 풍부한 불분기금, 복지기금, 문화기금 등을 조성했다. 근대적인 사회·문화적 기반시설을 두루 갖춘 <북극성> 콜호스 마을은 국가의 제도적 지원을 활용, 변방 지역사회에서 생산을 담당한 민중 주도로 만들어낸 다민족 평화공동체의 전형이었다. 이 농장의 회원과 주민들이 공동의 편익을 위해 공동노동을 통해 만들어 낸 각종 생산 및 사회문화 기반시설은 마을 주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재(commons)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19세기 이후 한민족 디아스포라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중앙아시아 백만거부 콜호스 현상’을 <북극성>이라는 대표적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토해 본 점에서 한국학의 영역 확대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 세계에 진출한 한인들이 각지에서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지만, ‘고려인 선진 콜호스’ 현상은 그런 성공이 집단적으로, 대규모로, 장기간 이루어졌다는 데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다른 한편, 소비에트 콜호스 체계에 대한 기존 학계의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많은 증거가 제시되었지만, 중앙아시아의 수많은 고려인 ‘선진 콜호스’ 사례는 콜호스 제도가 가진 긍정적 잠재력 또한 작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The central village of <Polar Star>, in Tashkent Oblast’, Uzbekistan, developed into a garden city in the late 1940s and early 1960s, earning it the nickname of ‘civilized socialist small town’. The main factors that led to the economic success of <Polar Star> Kolkhoz as a large-scale farm were: the appointment of Kim Byeong Hwa as the chairman of the management committee; the cultivation of cotton, which would become a profitable main crop; the expansion of farmland through the integration of poor neighboring farms; the significant advancement of mechanization through the purchase of a large number of large agricultural machines from MTC; and, the introduction of an independent accounting system for each work unit, etc. <Polar Star> Kolkhoz village, which was equipped with modern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was a typical example of a multi-ethnic peaceful community created by the people who took charge of production in a countryside, utilizing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state. The various production and social-cultural infrastructures created by the members and residents of this Kolkhoz through labor working collectively for the common good could be said to be commons that all village residents could use.

1. 연구의 필요성

2. <북극성> 콜호스 중앙마을: ‘문명한 사회주의적 소도시’

3. 농업생산 조직으로서 <북극성> 콜호스의 성공 요인

4. <북극성>의 다민족 농장-마을: 전원도시 공동체

5.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