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칼 라너의 초월성과 자기-증여: 생태신학적 가능성 탐구

Karl Rahner’s Transcendence and Self-Communication: Exploring Ecotheological Significance

  • 3
신학과철학 제49호.jpg

본 논문은 칼 라너의 그리스도론을 통해 하느님의 육화와 피조물의 신화에 대한 생태신학적 의미를 탐구한다. 하느님의 초월성이 피조물과의 깊은 관계를 통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조명하며, 현대 사회의 생태적 위기와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느님의 자기-증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이 세계에 들어오신 육화 사건이 단순한 개인적 구원을 넘어모든 피조물이 하느님과의 관계 속에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본다. 특히,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하느님과 피조물 간의 관계 회복의 결정적인 순간으로, 모든 피조물이 하느님의 구원 안에서 새로운 존재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라너의 사상은 하느님의 초월성이 단순한 거리감을 넘어, 피조물과의 사랑의 관계를통해 실현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현대 생태신학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본 연구는하느님의 육화가 모든 존재가 하느님의 생명 안에서 함께 존재하고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결정적인 사건임을 제시함으로써, 생태적 책임과 연대의식을 재조명하는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cological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incarnation of God and the myth of creation through the Christology of Karl Rahner. It highlights how God’s transcendence is realized through a deep relationship with creation, starting from the awareness that reflection on the ecological crisis of modern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nature is necessary. Based on Pope Francis’s concept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the paper posits that the event of the incarnation, through God’s self-communication, transcends mere personal salvation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for all creation to be transformed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particular,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are seen as crucial moments for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creation, marking the process by which all creation is transformed into a new existence within God's salvation. Rahner's thought emphasizes that God’s transcendence is realized not merely as distance, but through a loving relationship with creation, which serves a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contemporary ecological theolog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incarnation of God is a decisive event that enables all beings to recognize their existence together in God’s life and interconnectedness, thereby providing a renewed perspective on ecolog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들어가기

1.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요한 1,14)

2. 창조와 육화: 절대적 구원자 예수

3. 우주의 최종 변화

나가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