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동산 정책이 중개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중개계약, 중개대상물, 부동산 거래계약, 중개보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업공인중개사와 중개의뢰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개업공인중개사는 중개계약과 중개보수에서 부동산 정책의 영향을 받았으나, 중개의뢰인은 정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동산 정책은 중개대상물과 부동산 거래계약에 대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개업공인중개사가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중개의뢰인은 경제적 여건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부동산 정책과 중개서비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정책 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real estate policies on satisfaction with brokerage services, focusing on brokerage contracts, brokerage properties, real estate transaction contracts, and brokerage fees. A survey conducted among licensed real estate agents and clients revealed that while real estate agents were influenced by policies in terms of brokerage contracts and fees, clients were largely unaffected. Additionally, real estate policies showed no moderating effect on brokerage properties or transaction contracts. This suggests that real estate agents are more sensitive to policy changes, whereas clients prioritize economic conditions.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policies and brokerage services, offering valuable data for policy formulation.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설계 및 연구가설 설정
4. 실증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