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복희 여와 도상은 집안 지역 고구려 후기 벽화분인 통구 사신총, 오회분4·5호묘에서 출현하며, 일찍이 고구려에서 단 한 번도 확인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중국 신화 속 제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대 복희 여와 도상은 하남, 산동, 섬서, 사천지역, 위진 시기는 감숙 지역, 남북조 시기는 북조의 수도였던 낙양, 평성, 서안에서 대다수 확인된다. 한~위진남북조 시기 복희 여와 도상은 창조신인 복희 여와가 묘주를 하늘 세계로 인도하는 인도자의 이미지가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복희 여와 도상은 한~위진남북조 시기 복희 여와 도상 의의를 연용하고 있었으며, 북주와의 교류를 통해 고구려에 복희 여와 도상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집안 지역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의 주요 배경인 신선경을 묘사하던 중, 북조와의 교류를 통해 유입된 복희 여와 도상을 재해석하여 신선경에 칩거하는 신선이라는 이미지가 옅게 깔려있음과 동시에 창조신 및 하늘로 인도하는 인도자의 이미지가 강하게 투영된 복희 여와를 고분 벽화 제재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Goguryeo's Bokhee(伏羲) Yeowa(女蝸) images appears in Tonggu Sasinchong and Ohoebun Tomb No. 4 and No. 5, which are the murals of Goguryeo in the later period of the Jian area. Goguryeo's Bokhee Yeowa images is noteworthy in that it has never been appeared in Goguryeo before and is a figure in Chinese mythology. The Han Dynasty Bokhee Yeowa images is mainly distributed in Henan(河南), Shandong(山東), Shanxi(陝西), Sichuan(四川). WeiJin period Bokhee Yeowa images is mainly distributed in Gansu(甘肅) and in the northern regions such as Luoyang(洛陽), Pingcheng(平城), Xian(西安), which were the capitals of the Northern Dynasties during the China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Han Dynasty~Wei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okhee Yeowa images it seems that the god of creation Bokhee Yeowa who leads the tomb owner to the heaven is projected. Goguryeo's Bokhee Yeowa images is used the meaning of China Bokhee Yeowa images, it is possible that Bokhee Yeowa images entered Goguryeo through exchanges with BeiZhou (北周). While depicting immortal world, the main background of Goguryeo's later period tomb murals in the Jian area, it seems that Bokhee Yeowa images were reinterpret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which strongly projected the image of a creative god and a lead to the heaven,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神仙), were adopted as theme for the tomb murals.
Ⅰ. 서론
Ⅱ. 한~위진남북조 시기 복희 여와 도상과 의의
Ⅲ. 고구려 복희 여와 도상의 출현 원인과 의의
Ⅳ.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