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생성형 AI 기반 공간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팝업스토어 공간 시각화 연구

A Study on Pop-up Store Spatial Visualization Reflecting Spatial Identity Based on Generative AI

  • 24
커버이미지 없음

요즘 공간 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서, 공간 고유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사용자와 어떤 감성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팝업스토어처럼 짧은 시간 동안 운영되는 임시 공간에서는 브랜드의 메시지와 개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공간 아이덴티티의 시각적 구현이 더욱 중요해진다. 생성형 인공지능도구를 활용하여 팝업스토어 공간에서의 아이덴티티 시각화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를 유형적·무형적 요소로 나누어 정리하고, 컨템포러리 아이웨어 브랜드 ‘블루엘리펀트(Blue Elephant)’를 대상으로 MidJourney를 활용한 공간 시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제품 디스플레이 존과 중앙 설치물 구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색채·형태·재료·조명 등 시각적 요소에 기반한 프롬프트를 통해 AI 이미지 생성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의 절제된 이미지와 조형적 실험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시각화가 도출되었고, 일시성과 체험성 등 팝업스토어 특성도 비교적 잘 반영되었다. 다만 상호작용성과 유연성 표현에서는 한계가 드러났으며, 이는 추후 프롬프트 조정과 공간 연출 방식의 보완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가 공간 아이덴티티 구현에 있어 유의미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전략적 활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spatial design, the focus has shifted beyond simple aesthetic expression to exploring how to reveal the unique identity of a space and form emotional connections with users. Especially in temporary spaces such as pop-up stores, which operate for a short period, the visual expression of spatial identity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for effectively conveying a brand's message and personality. This study experimentally explored the potential of visualizing spatial identity in pop-up store spaces using generative AI tools. To this end, the components of spatial identity were organiz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nd a spatial visualiz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MidJourney, with the contemporary eyewear brand Blue Elephantas the subj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I-generated spatial images effectively reflected the brand identity in terms of key spatial identity elements such as color, form, material, lighting, and layout. In addition, core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s—temporariness, flexibility, and experientiality were successfully embodied. However,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 aspects of interactivity and content diversity,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generative AI can be a meaningful tool in realizing spatial identity and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its strategic application in future spatial design process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팝업스토어 공간 시각화 실험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