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독립출판이 출판문화의 다양성과 실험성을 선도하는 현상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전제로, 독립출판의 문화적 전환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독립출판은 창작자 주도의 자립 시스템과 창작자의 정체성, 독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통해 출판의 의미와 역할을 재정의하며 새로운 출판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둘째, POD, 디지털 인쇄, SNS, 크라우드펀딩 등의 기술경제적 기반과 개성 있는 콘텐츠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독립출판의 확산을 이끌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독립서점이 단순한 유통 채널을 넘어 독립출판물의 사회적 수용과 실험적 확산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작자 교육 및 지원 체계,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 독립서점 지원, 지역 문화와의 연계 등을 통해 독립출판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문화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ultura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ility of independent publishing in the digital era, based on the premise that independent publishing has emerged as a phenomenon leading the diversity and experimentalism of publishing culture. The study found that, first, independent publishing is redefining the meaning and role of publishing by establishing a creator-driven, self-reliant system and fostering emotional connections with readers, thereby creating a new publishing ecosystem. Second, it revealed that techn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POD, digital printing, SNS, and crowdfunding, as well as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demand for unique content, interact in complex ways to drive the expansion of independent publishing. Third, the study confirmed that independent bookstores are functioning not only as distribution channels but also as community platforms that support the social acceptance and experimental spread of independent pub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independent publishing by strengthening creator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establishing digital databases, and supporting independent bookstor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