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구입부담지수와 주택가격 간 장·단기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ort-term and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ffordability Index and Housing Prices

  • 9
공기업논총 제25권 제1호.png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가격의 수준과 그 변화로 인한 주택구입의 부담 정도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구입부담지수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실거래 매매가격 간 장·단기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 이에 따른 주택정책과 주택구입부담지수의 한계와 그 개선 방안을 실질 수요자의 관점에서 제언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활용하여 ARIMA-X-ECM을 추정하였으며, 분석기간은 2009년 1분기부터 2019년 4분기까지이다. 분석결과, 주택가격과 주택구입부담지수 간에는 단기적 관계뿐만 아니라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여 주택가격의 변화가 주택구입의 부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에 대한 실질 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택공급과 다주택자 중과세를 통해 주택가격의 하향안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여러 대상이나 유형별 가격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다 다층화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실질 수요자의 유형을 고려한 주택 구매력 제고를 통해 주택시장 활성화를 유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burden of housing purchase due to the level of housing prices and its changes through the short-term and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HAI(Hosing Affordability Index) of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and the HP(Apartment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the Korea Real Estate Board(formerly the Korea Appraisal Board), and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the housing policies and HAI from the perspective of actual demanders. For empirical analysis, ARIMA-X-ECM is estimated after the unit root test and cointegration test, and the analysis period is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9 to the fourth quarter of 201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is not only a short-term relationship but also a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the HP and the HAI, and that the degree of influence is greater in the long term than in the short term, indicating that changes in the HP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the HAI.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housing market centered on real demanders,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housing prices downward through housing supply and multiple homeowners’ heavy taxation, while providing a more multi-layered HAI that can consider various target and pric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activation of the housing market by increasing housing purchasing power considering the types of real demander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