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Viktor Frankl의 의미치료를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Existential Theory-Based Group Counseling Focusing on Viktor Frankl's Logotherapy

  • 93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3호.jpg

본 연구는 Viktor Frankl의 의미치료를 중심으로 한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실존주의 집단상담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39편을 선정하여 10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R 4.5.0 버전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 다.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15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회기당 시간에 따라 효과크 기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121분 이상에서 큰 효과크기(1.91)를 보였다. 또한, 개입 대상 특성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지닌 중재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큰 효과 크기(1.51)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국내에서 실시된 실존주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실존주의 집단상담 프 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existential theory-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particularly those grounded in Viktor Frankl’s logotherapy. A total of 39 Korean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graduate theses) yielded 109 effect sizes. Using R version 4.5.0,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calculated as 1.15, indicating a large effect. Notably, session dur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programs lasting over 121 minute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1.91).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lso moderated outcomes, with clinical or at-risk groups demonstrating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1.51) than general populations. These findings offer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existential group counseling outcomes in Korea and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