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자치경찰위원회가 주관한 ‘자치경찰 정책아이디어 공모’에 접수된 제안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자치경찰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수요를 분석해 보았다.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접수된 총 226건의 제안서를 법령과 3E의 시각으로 관심 분야(‘생활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교통안전’ 등)와 요구 활동(‘경찰대응 효율화’, ‘교육ㆍ홍보 강화’, ‘시설 보완ㆍ확대’, ‘참여 확대’ 등)을 중심으로 분류했다. 2인 코더의 코딩 신뢰도를 확인한 후 분석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모전에는 다양한 연령의 국민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20대 이하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공모전이 자치경찰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40대 이하 국민의 자치경찰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자치경찰활동에 대한 관심 분야는 ‘교통안전’(34.5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생활안전’(30.53%)과 ‘사회적 약자 보호’(30.53%) 또한 유사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체적인 수준에서는 시기, 연령, 주소 등에 따라 조금씩 차별적인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공적인 자치경찰활동을 위해 ‘시설 보완ㆍ확대’(46.02%)에 대한 요구가 시기와 연령, 그리고 주소 등과 무관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는 ‘교통안전’ 분야에서 특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치경찰활동 수요를 식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경찰 및 일반행정 사이의 적극적인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민 수요에 맞는 치안서비스 제공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 전략과 연구 과제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the citizens’ demand for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was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proposals submitted to the ‘Autonomous Police Policy Idea Contest’ hosted by the Gyeongsangbuk-do Autonomous Police Committee. A total of 226 proposals received in 2023 and 2024 were classified based on areas of interests(e.g., ‘life safety’, ‘protection of the socially vulnerable’, ‘traffic safety’) and required activities(e.g., ‘improving police response efficiency’, ‘strengthening education and publicity’, ‘improving and expanding facilities’, ‘expanding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ws and 3E. After checking the coding reliability of the two coders(percentages of agreement are over 89%, and the Scott’s Pi & Krippendorff’s Alpha values are also over .84),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people of various ages participated in the contest, those in their 20s or younger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st could be an effective means of attract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among those in their 40s or younger, who were relatively exclu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utonomous police committees. Second, the highest area of interest in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was ‘traffic safety’(34.51%), ‘life safety’(30.53%) and ‘protection of the socially vulnerable’(30.53%) also showed similar proportions. However, at a specific level,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nt age, participant address could also be found. Third, the demand for ‘facility improvement and expansion’(46.02%) for successful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was the highest regardless of th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nt age, participant address. And this demand was particularly high in the ‘traffic safety’ area.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police to continue efforts to identify the demand for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and to actively cooperate with general administration. Lastly, follow-up strategies and research tasks necessary to provide public security services that meet citizens’ demand were looked at.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