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정원용의 문헌에 관한 인식과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지식 수용 방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가 저술한 여러 저술 가운데 특히 『문헌촬록』과 『수향편』에 집중하였는데, 이 두 저작은 정원용의 관료 생활의 정점에서 저술된 것으로, 다양한 정보를 모아 선별하여 기록하고 있어 그의 지식 수용 양상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정원용은 문헌이 지니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70여 년간 관직에 있었던 만큼 그가 특히 관심을 가진 것은 국가의 전례였다. 『문헌촬록』은 정원용의 문헌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난 저술로, 그가 언급한 문헌의 의미 가운데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선별하여 재편한 ‘문[文]’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차기를 통해 모은 지식을 재편하면서 그 기준을 실제의 참고로 사용될 가능성, 즉 실용성에 둔 것이다. 『수향편』은 정원용이 실무를 행하며 직접 경험하며 확장된 지식을 기록한 것으로, 그가 언급한 문헌의 의미 중에 현인의 일을 기록한 ‘헌[獻]’에 해당하는 저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전례에 관해 얼마나 풍부한 지식을 지니고 있었는지, 그리고 이 지식이 그 시대와 연관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저술이기도 하기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저술은 19세기 관료 문인이었던 정원용이 어떤 지식을 의미 있게 여기고 이를 방식으로 수용하고 있었는지를 알려주는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Jeong Won-yong's Munheonchwalnok and Suhyangpyeon serve as valuable records that shed light on the interests, methods of knowledge acceptance, and documentation practices of a bureaucratic literatus during a time of expanding knowledge. Jeong Won-yo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and compiled Munheonchwalnok with a clear purpose of aiding official duties. He organized entries with an emphasis on convenience, selectively summarizing or omitting content to streamline the information. This intention is evident in the structure of Munheonchwalnok, which groups similar topics together and arranges the chapters of Volumes 7-10 to align with those of Volumes 1-6, reflecting its practical utility as a reference. Even after the compilation of Munheonchwalnok in 1851, Jeong actively participated in state affairs, serving as Chief State Councilor four times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and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government. His later work, Suhyangpyeon, appears to have been written during his tenure in office, incorporating expanded knowledge acquir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 The text includes additional reference materials, proposes new categories for previously undocumented topics, raises questions, and systematically organizes updated inform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state rituals held profound importance, as they emphasized the king’s authority and elevated his status by restoring traditional rites that symbolized the greatness of past eras. As Jeong Won-yong played a critical role in bringing King Cheoljong to power and served multiple times as Chief State Councilor, he recognized the value of knowledge related to state rituals. This understanding is reflected in Munheonchwalnok and Suhyangpyeon, which stand as significant resources for examining the patterns of knowledge acceptance by 19th-century bureaucratic literati.
1. 서론
2. 정원용의 문헌에 대한 인식
3. 지식 수용의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