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기 경전에 나타난 언어적 형성작용(vacī-saṅkhāra)의 수행론적 의의 - vitakka의 활용을 중심으로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Linguistic Formation (Vacī-saṅkhāra)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Vitakka

  • 18
보조사상연구원.jpg

본 연구는 초기 경전에 나타나는 언어적 형성작용(vacī-saṅkhāra)의 개념을 탐구하고, 그 수행론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적 형성작용은 인간의 언어적 행위와 밀접하게 관련된 정신 작용으로서 vitakka와 언어, 나아가 경험 세계 전반을 형성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주로 5부 니까야를 주 자료로 활용하였고, 필요시 주석서를 참고하여 언어적 형성작용의 어원적 의미와 용례를 살펴보았다. 언어적 형성작용은 명색(名色)에서 명의 영역인 행온에 해당하지만 색온과도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육외입처(色·聲·香·未·觸·法) 각각에 대한 vitakka가 작용하고, 육내입처(眼·耳·鼻·舌·身·意)와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vitakka를 통해 드러난다. 또한, vicāra는 육내입처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열여덟 가지 느낌과 관련되어 의(意, mano)와 연관된다. 이처럼 언어적 형성작용은 그 구성요소인 vitakka와 vicāra를 통해 명과 색 모두에 관여하며, 이는 마음과 몸의 통합적 작용을 보여준다. 수행의 측면에서 언어적 형성작용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사성제를 통찰하는 데 vitakka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정견의 확립으로 이어진다. 둘째, vitakka를 어떤 방향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정사유의 발현과 연관되어 있다. 셋째, 언어적 형성작용의 구성요소인 vitakka를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하면 염각지(satisambojjhaṅga)가 발현되어 깨달음의 구성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불선한 vitakka를 다루는 구체적인 수행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언어적 형성작용이 단순한 언어 작용을 넘어 수행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다. 특히 명색의 상호작용 속에서 언어적 형성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몸과 마음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적 수행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linguistic formation (vacī-saṅkhāra) as present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to clarify its practical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tilization of vitakka. Moving beyond existing research, which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conceptual meaning of vitakka or its comparison with Yoga tradi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itakka, a key component of linguistic formation, can serve both as a source of defilements and as a crucial meditative tool for practice and liberation. Linguistic formation is not merely a verbal act; rather, it constitutes an intentional psychological process composed of vitakka (initial application of mind) and vicāra (sustained application of mind). Vitakka itself exhibits a dynamic duality, capable of leading to either wholesome or unwholesome states depending on the practitioner’s intention and mental condition. When unwholesome, vitakka, in combination with craving (taṇhā) and ignorance (avijjā), develops into proliferation (papañca), which manifests as multiple layers of defilements, ranging from gross actions to subtle forms of self-clinging. In contrast, wholesome vitakka, when guided by right intention and wisdom, becomes an essential factor in jhāna (meditative absorption), aligns with right thought (sammā-saṅkappa) in the Noble Eightfold Path, and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emergence of the factors of awakening (bojjhaṅga). This research presents concrete scriptural evidence for both the wholesome and unwholesome dimensions of vitakka, and provides an analysis of five specific meditative methods from early scriptures for skillfully managing unwholesome vitakka and cultivating wholesome vitakka. In conclusion, a holistic understanding of linguistic formation, together with its core element vitakka, offers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purification of mind and the perfection of wisdom in early Buddhist practice, ultimately leading to liberation. Academically, this study contributes by highlighting the pivotal role of vitakka in medi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nāma-rūpa (mind-and-matter) and by providing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within early Buddhist meditation. Future research is encouraged to investigate practical methodologies for applying the utilization of vitakka in contemporary psychotherapy and meditation programs.

Ⅰ. 서론

Ⅱ. 언어적 형성작용(vacī-saṅkhāra)의 개념과 구조

Ⅲ. vitakka의 활용: 불선과 선의 전이

Ⅳ. vitakka의 수행 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