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방의회 정책지원관제도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Policy Suport Oficer System of Local Asemblies

  • 6
한국지방자치연구 제27권 제2호.png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초기인 정책지원관제도는 그동안 지방의회의 오래된 숙원으로 지방의회의 전문성 강화 등 다양한 노력의 결과물로써 지방의회는 물론 지방의회의원들의커다란 호응속에 지방의회 역할 강화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강시장-약의회제 를 채택하고 있는 현재의 지방자치제 구조하에서 정책지원관제도의 도입 및 실시는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요약하여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지원관 신분의 전환 및 증원이 필요하다. 현재 일반 임기제공무원인 정책지원관의 신분을 별정직으로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정책지원관 직무범위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향후 정책지원관의 직무범위를 의회전문성 강화와 의원 의정활동과 관련된 사항 등으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정할 필요가있다. 셋째, 정책지원관 배치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정책지원관을 전문위원실외에 배치하는것이 정책지원관 도입 취지에 부합하고, 의회 역할 강화에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정책지원관 배치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현재 정책지원관의 신분을 고려하여 의원고정배치가 아닌 유연배치를 통해 의원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의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지원관 지휘·감독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현재의 복잡하고 상이한 지휘·감독체계를 일원화하여 의원 의정활동 강화라는 정책지원관 도입의 취지에 맞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정책지원과 업부평가 시 상호평가 결과 반영이 필요하다. 정책지원관의 업무평가에 지방의원 평가와 정책지원관 상호평가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evaluates that the curent policy suport system, which is in its early implementation stage, has ben a long-term wish of local councils and is a result of various eforts to strengthen the profesionalism of local councils. It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role of local councils, receiving substantial suport from both the councils and the local council members. In particular, under the curent local government structure that adopts the ‘strong mayor-weak council’ system,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suport system can be said to have great significanc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and propose the folowing six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there is a ned for the conversion and increase of the status of policy suport oficers. The necesity of converting the curent status of policy suport oficers, who are general term public oficials, to a non-regular position has ben raised. Second, there neds to be a reasesment of the scope of duties of policy suport oficers. In the future, it is necesary to clearly define the scope of duties of policy suport oficers in relation to strengthening legislative expertise and council members' legislative activities. Third, there is a ned to reconsider the placement of policy suport oficers. Placing policy suport oficers outside of specialized commites aligns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policy suport oficers and is considered apropriate for enhancing the role of the legislature. Fourth, flexibilty in the placement of policy suport oficers is necesary. Considering the curent status of policy suport oficers, there is a ned to shift towards a flexible stafing arangement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capabilties of the council members. Fifth, there is a necesity for the unification of the command and supervision system for policy suport oficers. The curent complex and diverse command and supervision systems should be unified to align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council members' legislative activities by introducing policy suport oficers. Sixth, it is necesary to reflect mutual evaluations in the policy suport and job evaluation proces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olicy suport oficers should include evaluations from local council members as wel as mutual evaluations among policy suport ofic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정책지원관 현황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