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무원의 재택근무제 활용이 공무원 개인수준의 업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정부조직의 근로에 있어 재택근무 활용이갖는 효과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국내 재택근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고와 이론적기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를 재택근무 활용 횟수(빈도)로 설정하고 재택근무활용 빈도와 종속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공무원의 재택근무 활용 횟수(빈도)와 업무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무원의 재택근무 활용 횟수(빈도)와 직무만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제공하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조직의 재택근무제도 설계와 추진을 담당하는 주무 부서에서는 공무원의 재택근무제 활용에 따른 업무성과에 있어서의 긍정적 효과의 수준을 최고치로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적정한 수준의 재택근무 활용 횟수(빈도)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분석 수행이 요구된다고 본다. 둘째, 공무원의 직무만족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중 하나로 정부조직에서의 재택근무제 수요에 적합한 재택근무 활용 보장을 위한 조직문화 개선 그리고 재택근무 활용 만족도 제고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근무환경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ect of public oficials' use of the telecommuting system on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of public oficials and to present the efect of the use of telecommuting in government organizations' work. In order to improve the diferentiation from previous studies on telecommuting in Korea and to contribute theoreticaly, this study set the independent variable as the number of telecommuting uses (frequency) and tried to deriv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n the frequency of telecommuting use and the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n the number of times (frequency) of telecommuting use by public oficials and work performance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y significant. In a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n the number of times (frequency) of telecommuting use by public oficials and job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policy implications provided by this study are as folows. First, the competent department in charge of designing and promoting the telecommuting system of government organizations believes that a more systematic analysis of the number of times (frequency) of telecommuting use required to maintain the highest level of positive efects on work performance by public oficials. Second, as one of the measures to continuously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icials, efort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t various levels, such as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ensure the use of telecommuting suitable for the demand for telecommuting in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enhancing satisfaction with telecommuting, are required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가설과 연구설계
Ⅳ. 통계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