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소재대학 편입학과 취업성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on employment outcomes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경영과 사례연구
- 제47권 제2호
-
2025.0879 - 101 (23 pages)
-
DOI : 10.55685/bcr.2025.47.2.79
- 15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3개년도(2016년-2018년)를 대상으로 서울소재 대학교 편입학이 취업성과인 실제임금, 직장만족도, 기대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삼년동안의 서울소재 대학교 편입생 표본숫자는 1,470명으로 집계되었다.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편입한 대학생은 비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편입한 학생과 비교하여 직장만족도는 낮아지며 기대임금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편입한 대학생이 이전에 재학한 대학을 서울소재와 비서울소재로 분류하여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비서울소재대학에서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로 편입한 학생들은 서울소재대학에서 편입한 학생들과 비교하여 실제 임금은 높아지고 직장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서울소재 대학교로 편입을 희망하는 대학생은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이들이 학교생활과 취업성과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기대가 어느 정도 충족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앞으로 편입학에 대한 연구를 다양한 각도에서 수행하여 편입학이 학창생활과 취업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Current study uses 3-year(2016, 2017, 2018) dataset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on employment outcomes.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increased actual and expected employee wage; and also reduce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by considering pre-transfer university between in and out of Seoul. When pre-transfer university is out of Seoul,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increased actual and expected employee wage, and reduced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pre-transfer university is in Seoul,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failed to have effects on employment outcomes. It is critical to examine the Seoul-located university transfer whe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university transfer on employment outcomes.
Ⅰ. 서 론
Ⅱ. 가설: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 편입과 취업성과
Ⅲ. 연구방법
Ⅳ. 모델분석
Ⅴ. 논의
Ⅵ. 한계점과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