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 ESG 이슈의 중대성-성과공시 정합성 분석
A Text Mining-Based Analysis of ESG Materiality and Disclosure Consistency in Higher Education
-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 경영과 사례연구
- 제47권 제2호
-
2025.08147 - 172 (26 pages)
-
DOI : 10.55685/bcr.2025.47.2.147
- 14

본 연구는 대학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이슈에 대해 이슈별 중대성(Materiality)과 관련 성과의 공시수준(Disclosure level) 간 정합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 ESG 경영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21개 주요 대학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대학혁신지원사업 사업계획서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ESG 이슈별 관련 키워드의 등장 빈도를 기준으로 공시수준을 정량화하였다. 도출된 대학 평균 공시수준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이슈별 중대성 수준과 매핑하여 양자 간의 정합성 및 괴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버넌스 영역에 해당하는 이슈들은 전반적으로 중대성과 공시수준이 모두 높은 반면,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 영역의 일부 항목들은 중대성에 비해 공시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학 ESG 현황을 체계적,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실질적인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 프레임워크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대학 ESG 경영의 실행력 제고 및 보고 체계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materiality and the disclosure level of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management issu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derive strategic implications for improving ESG management practices in universities. To this end, sustainability reports and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plans published by 21 majo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study quantified the disclosure level of each ESG issue based on the frequency of relevant keywords. The average disclosure level for each issue was then mapped against its materiality score, as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to assess the alignment and potential gaps between the two dimens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governance-related issues generally demonstrated both high materiality and high levels of disclosure. In contrast, several issues in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domains showed relatively low disclosure levels despite their recognized importance. This suggests a disconnect between strategic importance and reporting practices in certain ESG areas. The study offers a data-driven and systematic framework for evaluating ESG disclosure in higher education, which can be used to inform practical strategies and strengthen institutional ESG execution and reporting systems. The proposed framework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ESG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reporting practices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Ⅰ. 연구 배경
Ⅱ. 연구 방법론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