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Using Process Mining: A Case Study of Wind and Flood Disaster Response
프로세스 마이닝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프로세스 분석: 풍수해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 Crisisonomy
- Vol.21 No.4
-
2025.041 - 21 (21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5.21.4.1
- 0

본 연구는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 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권 A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 대응과 관련된 2022년도 전자결재 문서 1,615건을 대상으로 주요 기능별 빈도, 업무 부하, 대응 소요 시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정 기능과 부서에 업무 부하가 집중되며, 일부 대응 절차가 장기화되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재난대응 프로세스 간 구조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업무 부하의 완화 및 관리를 통한 재난관리 프로세스의 최적화 방안과 더불어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재난관리체계 고도화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지방자치단 체의 재난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재난대응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존재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of local governments using process mining techniques and proposes measures to establish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this end,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615 electronic approval documents related to wind and flood disaster responses from a local government in the Gangwon region in 2022. The analysis revealed that workloads were concentrated in specific functions and departments, and that certain response procedures were unduly prolonged. Additionally, structur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cross individual disaster response proces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n optimization strategy aimed at mitigating excessive workloads and improving workload distribution, while emphasizing the need to enhanc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rough process mining techniqu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empirically applying process mining techniques to the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and providing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disaster response efficienc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