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福克司본 『皇輿全覽圖』의 『조선도』에 대한 재탐구

Re-examination of the “Joseon Map” in Fuchs' The Complete Atlas of the Imperial Territory (Kangxi Period)

  • 13
백산학보 第132號.png

강희 『황여전람도』는 전통 시대 중국 지도 중에서 처음으로 경위도 측정을 통해 만들어진 지도이며, 그 속에 『조선도』가 들어 있다. 조선은 처음에 목극등의 지도 요청을 거부하였으나, 그의 재삼 청구를못 이겨, 그다지 상세하지도 않고 소략하지도 않은 조선전도를 내주었다. 비록 상세한 비변사지도가있었으나 제공하지 않은 것은 청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며, 특히 ‘오랑캐가 백년의 운이 없다’는 화이관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지리정보가 청에 유출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남한산성맹약’ 의 조선은 신구(新舊) 성을 수축할 수 없다는 제한 때문에, 이미 수축해 놓은 성지(城池) 및 관방 정보가청에 의해 탐지되는 것을 우려하였다. 『조선도』의 지명 특징은 내지 6도와 국경 지역(함경도·평안도)이 다르며, 내지의 경우 군현 지명과산 지명을 주로 표기하였으며(하천·도서·병영·수영도 표기됨), 조선 초기 『신증동국여지승람』의『동람도』(1530년)를 계승하였다. 이에 비해 국경 지역은 군현·산 지명 외에 하천·진보 명칭이 많았으며, 음역(音譯)한 지명으로 표기되어 한자의 착오가 많았다. 이는 모본에 없던 지명을 청측이 국경조사 때 채집한 것이었다. 『조선도』의 지명은 편찬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오류가 생겼으며, 예컨대 함경도의 단천 이북 4개 군현이 빠졌는가 하면, 각도마다 1~2개의 군현이 누락되어 총 10개의 군현 지명이 실제보다 적었다. 한자표기가 잘못된 곳도 55개 발견되며, 이는 모본 지도를 전사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한자를 잘못 베낀것이다. 『조선도』의 군현 지명이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 이후의 변화를 반영한데 비해, 병영·수영등 관방 정보는 변화가 없었다. 그런 관계로 『조선도』의 병영·수영 위치를 통해 지도의 제작 시기를판단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따랐다. 『조선도』의 군현 증설을 통해 제작 시기를 알아보면, 1632~ 1651년에 증설된 능주·자인·칠곡·금천 등이 표기되었기에, 모본이 1651년 이후에 제작되었음을알 수 있다. 이것이 지도 제작의 상한이다. 하한은 1713년이며, 이 해에 목극등이 조선에 가서 조선전도를 얻어 왔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경상도의 영양·순흥(1677~1682년 현이 혁파됨)이누락된 지명이 아니고 파현(罷縣)과 관계될 경우, 모본이 1677~1682년에 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Hwang yeo jeon lam do皇輿全覽圖(Atlas of the Chinese Empire)” of Kangxi Reign was the first map in traditional Chinese cartography to be created through the use of latitude and longitude measurements, which included the “Joseon do朝鲜圖(Map of Korea)”. Initially, Korea refused Mukden's request for a map, but unable to resist his repeated appeals, then handed over a Complete Map of Korea which neither overly detailed nor excessively simplified. Although Korea possessed detailed maps from the Border Defense Council of Joseon (Bi byeon sa備邊司), they declined to provide it due to the distrust toward the Qing Dynasty. This reluctance was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Sino-barbarian view that “the Hu(barbarians) cannot rule for a hundred years”, then Korea sought to prevent the leakag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to the Qing Dynastry. Additionally, constrained by the “Nam han san seong Maeng yak南漢山城盟約(the Covenant after Bingzi battle (Qing invasion of Joseon))”, Korea was prohibited from constructing new or repairing old cities, hence they fearred that information about existing cities and defense installations would be detected by the Qing Dynasty. The toponymic features of the “Joseon do朝鲜圖(Map of Korea)” is the different label method between the six inland provinces and the border regions (Hamgyong-do and Pyeongan-do). It primarily labelled county-level place names and mountain names (also label the name of rivers, islands, military camps and naval bases) in the inland provinces, inheriting the “Donglam do東覽圖 Map of the East”(1530) from “Sinjeung donggug yeoji seunglam新增東國輿地勝覽 Revise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in the earlier period of Korea”. In contrast, in the border regions, beyond the name of counties and mountains, it also labelled numerous names of rivers and fortresses, marked with transliterated toponyms that contain many Chinese character errors. This indicates that the Qing collected additional place names during border surveys that were not present in the original Korean base map. Many errors emerged during the compilation of toponyms in the “Joseon do朝鲜圖(Map of Korea)”. For example, four counties north of Tanchon in Hamgyong-do were omitted, and 1-2 counties was missing in each province, as a result, in a total of 10 fewer county names than the actual number. Additionally, 55 cases of incorrect Chinese character annotations were found, caused by miscopying homoglyphs when transcribing the base map. While the county names on the “Joseon do朝鲜圖(Map of Korea)” reflect changes of the counties after the creation of “Sinjeung donggug yeoji seunglam新增東國輿地勝覽Revise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in the earlier period of Korea” in 1530, but the defensive information such as military camps and naval bases remained unchanged. Thus, it has certain limitations to determine the map's production period by the locations of these camps. However, analyzing the production period from the addition of new counties on the “Joseon do朝鲜圖(Map of Korea)” we can know that the base map was drawn after 1651(the upper limit), since it includes counties established between 1632 and 1651, such as Yeongju, Chaein, Chugok, and Geumcheon. The lower limit is 1713, as this was the year Mukden traveled to Korea to obtain the Complete Map of Korea. Further refinement suggests that if the absence of Yeongyang and Sunheung in Gyeongsang-do (counties abolished between 1677 and 1682) was not an omission but related to their abolition, the base map could be dated to the period between 1677 and 1682.

Ⅰ. 머리말

Ⅱ. 목극등의 국경 조사와 조선전도의 수입

Ⅲ. 『조선도』의 지리 정보에 대한 분석

Ⅳ. 『조선도』 모본의 제작 시기

Ⅴ. 맺음말

參考文獻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