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해외 파견 관리자의 통합적 국제 적응 모델 제시: 문헌의 다각적 비교 분석을 통한 변수 업데이트

Presentation of an Integrated International Adjustment Model for Expatriate: Focusing on Updating Variables through Multi-faceted Comparative Analysis of Literature

  • 0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4호.jpg

본 연구는 지난 30년간 이루어진 해외 파견 관리자의 국제 적응에 대한 후속 연구를 시대적(2003-2007년/2019-2023년), 국가적(해외/국내)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국제 적응에 필요한 주요 변수의 업데이트 및 프레임워크의 정교화·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1991년 이후 통합적 문헌 비교 분석을 통해 프레임워크를 재정립하려는 시도가 없었기에,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AI·디지털 기술 발전 등 최근의 변화된 국제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한 변수를 탐색하고 이를 프레임워크에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키워드 검색을 통해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서술적 분석(국가, 저자, 저널, 방법론) 및 독립·종속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외 논문 40편과 국내 논문 18편, 총 58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해외 문헌에서는 개인 요인과 직무 외 요인에서 다양한 독립변수가 연구되고 있으며, 직무 관련 변수는 비교적 일반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 해외 연구에서는 일반 적응의 종속변수가 증가하고 다양화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국내 문헌에서는 다양한 독립변수를 다루고 있으나 종속변수는 여전히 일반 개념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특히 국내 논문은 여전히 과거의 일반적 변수 사용 빈도가 높고, 해외 2003-2007년 문헌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변수를 향후 연구 주제로 제안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지난 20여 년 간의 변수 변화를 통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1991년 Black 프레임워크의 한계를 보완하고 국제 적응 프레임워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This study revisits the international adjustment framework for overseas dispatch managers by comparing follow-up studies from the past 30 years. Since Black et al.'s 1991 model, no integrated review has addressed recent global shifts such as COVID-19 and digital transformation. Analyzing 58 papers (40 international, 18 domestic) from two periods (2003-2007, 2019-2023), the study examines key trends i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 international studies now explore more diverse individual and non-job factors, while domestic research remains focused on generalized concepts, reflecting a lag in development. The study identifies underexplored domestic variables and contributes to updating and expanding the original framework to better reflect current global challeng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