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외부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내부통제가 수행하는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은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상하이·선전 A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디지털 전환은 기업공시자료 기반의 키워드 빈도 분석을 통해 산출된 지수를 CSMAR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하여 사용하였고, 내부통제는 DIB 내부통제 및 리스크관리데이터베이스의 평가 점수를 활용하였다. 비정상 감사보수는 회귀모형을 통해 추정된 잔차로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전환은 감사보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내부통제는 감사보수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추가적으로 내부통제는 디지털 전환과 감사보수 간 관계에서 음(-)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과 내부통제를 중심으로 외부감사보수의 결정요인을구조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학문적·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기업은 내부통제 수준을 높여 디지털 전환에 따른 리스크를 완화하고 감사보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감사인은 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준을 반영한 감사위험 평가 및 감사보수 산정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에대응하여, 효과적인 디지털 감사시스템을 구축 운영함으로써 감사품질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rporate digital transformation on external audit fees and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control in this relationship. [Methodology] Using data from Shanghai and Shenzhen A-share listed companies between 2013 and 2023, the study analyzes how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ternal control affect actual and abnormal audit fe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dex is derived from keyword frequency analysis of corporate disclosures (CSMAR), while internal control is measured using evaluation scores from the DIB Internal Control and Risk Management database. Abnormal audit fees are calculated as the residuals from a fee estimation regression. [Findings]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actual and abnormal audit fees, whereas internal control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urthermore, internal control significantly weakens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audit fees. [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structural determinants of audit fees based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ternal control. Firms can reduce audit fee burdens by improving internal control systems during digital transitions. Auditors should consider the digital maturity of firms in planning audits and determining fees, and enhance audit quality through digital audit tool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가설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