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농가경제조사를 통해 본 농가소득 제고 방안 모색 - 경남 농가를 대상으로

Exploring Strategies to Enhance Farm Household Income through the National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A Case Study of Gyeongsangnam-do

  • 0
한국지역경제연구 제23권 제2호.png

경남의 농가는 높은 고령화율, 영세소농 중심의 농업구조를 보여 최근 10년간 농가소득은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농업구조 고착화는 경남 농가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농업소득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운 농가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소득원 다변화를 비롯한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의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경남 농가의 구조적 특성과 농가소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농가 고령화, 소규모 경지면적, 낮은 생산성 등 다양한 제약 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남 농가의 실정에 맞는 경영규모 확대, 청년농 유입 촉진, 농업구조개선, 기후변화 대응형 작목 전환 등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 farms in Gyeongsangnam-do have exhibited a structure dominated by elderly farmers and small-scale agricultural operations, leading to stagnation or even a decline in farm household income levels. This trend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economic sustainability of the region’s agricultural sector. In particular, many farm households find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sustain their livelihoods solely through agricultural income, highlight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income diversification and policy interven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ncome trends of farm households in Gyeongsangnam-do based on data from the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spanning from 2003 to 2023. The analysis identified several constraints, including aging farmers, limited land holdings, and low produ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policy approaches. According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romoting farm scale expansion, encouraging youth participation in agriculture, improving structural conditions, and transitioning toward climate-resilient crops to enhance the income and sustainability of farm households in the region.

Ⅰ. 서론

Ⅱ. 농가소득 현황 분석

Ⅲ. 경남 농가소득 증대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