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온라인 플립드 러닝 기반 외식 창업 교육: 학습 실재감, 학습몰입, 주관적 학업성취도, 외식창업의도의 구조적 관계

Online flipped learning in foodservi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foodservice entrepreneurial intention

  • 45
식공간융합연구 20권 5호.jpg

본 연구는 온라인 플립드 러닝 기반 외식 창업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 실재감이 외식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관계에서 학습몰입과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부산 지역 2-4년제 대학의 조리외식 관련 학과 재학생 중, 플립드 러닝 기반 외식창업 수업을 이수한 22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PLS-SEM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실재감이 외식창업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습몰입과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단일 또는 순차적으로 거치는 간접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플립드 러닝 기반의 외식 창업 교육에서 긍정적인 학습 환경이 곧바로 외식창업의도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깊이 있는 학습 과정과 그로 인한 성공 경험을 거쳐야 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온라인 창업 교육을 위해 단순히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넘어, 학습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실질적인 학업 성취를 경험하게 하는 교수설계 전략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n onlin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for foodservi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at 2- and 4-year universities in the Daegu, Gyeongbuk, and Busan regions who had completed a flipped learning-based foodservice entrepreneurship course.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LS-SE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learning flow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both individually and sequentially, were significant, confirming a full mediation effec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does not directly lead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nline flipped learning for foodservice entrepreneurship. Instead, it must be channeled through a deep learning process and resulting successful experien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effective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not only create a conducive environment as well as induce student flow and facilitate tangible academic achieve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