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의 사회적 가치 제고에 관한 연구
Enhancing the Social Value of Home-Based Care Services by Home Care Workers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 제56호
-
2025.095 - 40 (36 pages)
-
DOI : 10.22589/kaocm.2025.56.5
- 39

이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의 돌봄서비스 사회적 가치 제고 영역을 4가지로 설정하고, 노인복지 영역의 정책적, 실천적 함의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을 위해, 방문요양서비스 활동 경력 최소 3년 이상 된 요양보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 절하된 사회적 인식 개선’, ‘고용불안정과 저임금의 문제해결’, ‘부당한 대우의 개선’, ‘의사결정 참여 기회 및 권한 강화’란 4가지 주요 영역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에서는 ‘급여 서비스 이용 노인과 가족 보호자 대상 교육’, ‘일반 국민 대상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 ‘기관 및 기관 종사자의 노력 필요’, ‘요양보호사 자기관리의 중요성’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에서는 ‘임금체계의 개선’, ‘수당제도의 개선’, ‘처우개선 필요’이란 주제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에서는 ‘공식적 호칭 사용 안내의 중요성’, ‘부당대우를 하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재를 가하는 제도 필요’, ‘정부를 대표하는 공적기관 종사자에 대한 민간 기관의 평가 필요’, ‘요양보호사의 자구책’이 제시되었다. 마지막 영역에서는 ‘정책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창구 마련 필요’, ‘이용자 돌봄 관련 기관 내 정기적 사례 회의를 통한 의견 창구 마련’이란 주제가 도출되었다. 위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몇 가지 논의 점과 제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our domains for enhancing the social value of care services provided by home-based care workers and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lder adult welfa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ed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n home-based care workers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domains: improving social recognition, address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low wages, rectifying unfair treatment, and strengthen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n the first domain, four themes emerged: education for older adults receiving servic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efforts to raise public awareness, the need for initiatives from institutions and their staff, and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mong care workers. In the second domain,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improving the wage system, reforming the allowance system, and enhancing working conditions. The third domain highlighted four themes: the importance of guidance on the use of formal titles,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sanction service users who engage in unfair treatment, the need for private institutions to evaluate staff from public agencies representing the government, and the self-protective strategies of care workers. In the final domain, two themes were identified: establishing channels for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and creating regular case meetings within institution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ressing opinions on client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discussion points and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were proposed.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