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KS 유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차성: 한국어 연수과정과 학위과정의 교우관계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
A Study on GKS International Students’ Friendship Formation and Intersectionality: A Qualitative Analysis of Friendship Formation and Change during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and Degree Program
- 1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부초청 장학생인 GKS(Global Korea Scholarship)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연수과정과 학위과정 중 경험한 교우관계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차성 이론을 적용하여, GKS 유학생의 정체성과 구조적 조건이 관계 형성에 어떻게 교차성 측면에서 작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유학생에 대한 개인의 적응 중심 연구를 넘어, 유학생의 교우관계에 대해 구조적 요인과 권력 관계를 반영한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다양한 배경의 GKS 유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 절차와 Saldaña(2016)의 범주화 전략을 바탕으로 분석한 후, 교차성 이론 틀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언어연수원 시기에는 GKS 유학생의 기숙사 공동생활과 한국어 중심 교육 등 조건 속에서, 언어, 외모, GKS 정체성이 교차하며 배제와 차별이 발생하였다. 둘째, 유사한 경험을 공유한 GKS 유학생들 간에는 정서적 지지를 바탕으로 한 상호돌봄형 관계가 형성되었고, 이는 이후 학위과정에서도 강한 유대로 이어졌다. 셋째, 학위과정에서 GKS 유학생 일부는 정체성 간 권력관계에 따라 전략적 거리두기나 선택적 연대를 구성하였고, 같은 GKS 신분 내에서도 교차된 정체성에 따라 위계와 차별이 재구성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넷째, GKS 유학생의 식단·종교·문화규범 등의 선택이 관계 형성의 새로운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한국 정부와 대학 기관은 유학생의 다양성과 상호이해를 증진을 위해 기숙사 운영, 교직원 역량, 프로그램 설계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연수원·대학·국립국제교육원 간의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여 졸업 후 전환기까지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es of friendship formation and change among Global Korea Scholarship (GKS)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pplying the framework of intersectionality, it explores how GKS students’ identities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intersect to shape their relationships. In doing so, it moves beyond the adaptation-centered perspective dominant in previous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and offers an interpretation that incorporates structural factors and power relations. [Methods]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adop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GKS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raun and Clarke’s (2006) thematic analysis procedure and Saldaña’s (2016) categorization strategy,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Results] First, during the language training period, institutional conditions such as dormitory-based communal living and Korean- language-centered education intersected with students’ language, appearance, and GKS identity, resulting in experiences of isolation and discrimination. Second, among students who shared similar experiences, mutual care-based relationships formed through emotional support, which later developed into strong bonds during the degree program. Third, in the degree program stage, institutional intervention decreased and autonomy expanded, with dietary, religious, and cultural norms becoming new conditions influencing relationship formation. Fourth, some GKS students strategically maintained distance or formed selective alliances based on the power relations among intersecting identities, and even within the same within the same group of international students, hierarchies and discrimination were reconstituted depending on these intersecting identities. [Conclusion] To enhance diversity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Korean government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improve dormitory management, staff capacity, and program design.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rganic linkage between language institutes, universities,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NIIED) and establish a sustainable support system that covers the transition period after graduat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언어연수원과 학위과정의 교우관계 형성과 변화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