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미국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 사례를 통한 국내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South Korea’s Computer-Based NAEA through State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s from USA

  • 6
비교교육연구 제35권 제4호.jpg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 평가의 한국과 미국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공식 보고서 및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미국의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인 STAAR 시험과 FAST 시험의 구성, 관리 및 시행, 결과 보고 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STAAR 시험과 FAST 시험은 기술공학적 문항 유형의 다양성, 예외 상황에 대한 명확한 대응 지침, 학습자 성장 기반의 정밀한 피드백 제공 측면에서 국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결과 보고 및 활용 측면에서 과거 성적과의 비교, 학습 수준에 따른 맞춤형 전략 및 자료 추천, 실생활 연계 피드백은 학생의 흥미를 유도하고 자기주도 학습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결론] STAAR 시험과 FAST 시험의 강점을 국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현실적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기술공학적 문항 유형 도입 시 문항의 복잡성, 난이도 조절, 실제 평가 맥락과의 적합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둘째, 컴퓨터 기반 시험 응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한 원격 시험이나 지필 시험 등 예외 상황 대응 지침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서는 개인화된 피드백 제공 방안을 적극 도입하되, 과도한 서열화나 낙인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신중한 운영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ases of computer-based testing (CB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provide insights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Methods] To this end, official reports and related literature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were reviewed to examine and compare the structure, administration, implementation, and reporting practices of the STAAR and FAST assessments. [Results] The STAAR and FAST assessments in the United States showed notable differences from Korea’s NAEA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technology-enhanced item types, clear guidelines for exceptional testing situations, and detailed feedback based on student growth. In particular, the reporting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results—such as comparisons with previous scores, personalized learning strategies and material recommendations, and real-life contextual feedback—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engagement and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 To incorporate the strengths of STAAR and FAST into Korea’s national assessments, several practic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First, when introducing new technology-enhanced item types,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to item complexity, appropriate difficulty adjustment, and contextual relevance. Second, clear contingency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for students unable to take the CBT as scheduled, including alternatives such as remote or paper-based testing. Thir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stomized achievement assessment, personalized feedback should be actively provided, with caution to avoid excessive ranking or stigmatization.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Ⅲ. 미국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 STAAR, FAST 시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