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분석을 활용한 지체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f-driving support measur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IPA(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안전문화연구
- 제46호
-
2025.0921 - 35 (15 pages)
-
DOI : 10.52902/kjsc.2025.46.21
- 9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장애인 이동수단 중 상대적으로 정책적인 관심과 예산 지원이 부족한 자가운전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분야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IPA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IPA는 정책의 중요도와 수행도(만족도)를 매트릭스화 하여 만족도와 중요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책적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지체장애인 운전자 161명 및 비운전자 157명, 전문가 5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장애인 자가운전 지원방안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세부적인 지원방안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아 우선개선이 필요한 분야를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 운동능력 평가방법 및 절차 개선, 운전면허 취득 이후 운전교육 강화, 기술적 측면에서 자동차 구조변경(튜닝), 특수 차량 개조 후 사후 관리, 전문가 특수 차량 개조 컨설팅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특수 차량 렌트 및 대여, 차량 유지비 지원, 접근성 측면에서는 자가운전 관련 정보 안내, 자가운전 관련기관 서비스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장애인 이동권 향상을 위해 자가운전 지원방안의 중요도 및 만족도 수준을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관계부처에서 장애인 자가운전 분야 정책 추진 및 실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reas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promoting self-driving, a mode of transpor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policy attention and budgetary support.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f-driving support measur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erts us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IPA matrixe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of a policy, allowing policy priorities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 survey of 161 drivers, 157 non-driv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51 experts was conducted to assess overall satisfac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pecific support measures with self-driving support measur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dentified area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levels, requiring priority improvement,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re were demands for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motor skills, driver training after obtaining a driver's license, and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for vehicle structural modifications (tuning), aftercare after special vehicle modifications, and expert consulting on special vehicle modification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 is a priority need for rentals of special vehicle, support for vehicle maintenance costs, and from an accessibility perspective, for information on self-driving and services of organizations related to self-driving.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self-driving support measures and proposed priorities to substantially improve mobility righ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relevant ministries to promote and implement policies related to self-driv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정책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