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ingdon모형을 적용한 군 평생교육 정책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Korean Military by Applying the Kingdon Model

  • 44
사회과학리뷰 제10권 제3호.jpg

본 연구는 미래 안보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방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창의적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군 평생교육 정책결정에 관련된 연구이다. 군 평생교육은 2000년대 이전까지 군 조직에 관한 접근의 어려움과 학계의 관심부족으로 인해 연구의 사각지대와 이론의 불모지대로 남아 있었다. 군의 평생교육정책은 1999년 군복무가산점 위헌 판결 이후 군복무 이행자에 대한 합리적 보상 차원에서 장병 자기개발 분야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평생교육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군의 평생교육 정책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선행연구가 없는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군 평생교육 추진 도입기부터 성장기, 2015년 국방전직교육원이 설립된이후 현재를 안정기로 보고 정책결정과정을 연구하여, 이재명 정부에서 군 평생교육의 성공적인 추진과 정책 결정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정치의 흐름이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과 평생교육진흥정책을 변화하게 하고, 더불어 군 평생교육 정책결정 과정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Kingdon모형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군 평생교육의 도약을 위해서는 라이즈 사업과 연계한 순환적 평생교육 연계형 지·산·학·군(RISE+M)협력 모델을 통해 군 평생교육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policy-making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military to foster creative professionals who will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future security environment and lead innovation in the defense field. Until the2000s, lifelong education in the military remained a blind spot of research and abarren spot of theory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ing military organizations and lackof interest from academia. After the 1999 ruling that military service additionalpoints were unconstitutional, the military's lifelong education policy began to bediscussed in earnest in 2006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the fieldof military self-development in order to reasonably compensate those who fulfillmilitary service. In this study, through Kingdon's multi-flow model, which has noprior research on how the military's lifelong education policy decisions were made,the policy-making process is studied from the introduction to the growth period,and the present is considered a stable perio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National Defense Institute in 2015 to provide a clue for the successful promotionand policy-making of lifelong military education in the Lee Jae-myung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Kingdon model is significant in that the flow ofpolitics changes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nd lifelongeducation promotion polic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ilitary lifelong educationpolicy should be promoted through a circular lifelong education-linked RISE+Mcooperation model in connection with the Rise proje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의 틀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