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무 동기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의 교육 정책 중 하나인 대학 담임 제도가 대학 교원의 삶과 이직에 미치는 관계를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G 대학교에서 근무(1~9년)한 후 이직을 결정한 교원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대한 보조 수단으로 MAXQDA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임 교원들은 담임 제도로 인한 과중한 업무 부담과 개인 권리의 침해를 느낌으로써 이직을 “충동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입사 3~6년 차 교원들은 담임 제도가 개인을 “감옥 같이 속박”한다고 느끼며, 이직을 “자기 해방을 위한 선택”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드러냈다. 한편, 입사 7~9년 차 교원들은 담임 제도로 인해 젊은 교원들과 협력관계를 맺는데 어려운 캠퍼스 환경을 경험하면서, “회피가 더 나을 수 있는 선택”으로 이직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 생활과 학업을 도와 주기 위해 도입된 대학의 ‘담임 제도’가 혁신 없이 오랜 동안 유지된 낡은 제도로써 교원 이직의 “촉매”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이 각 교원의 발전을 고려한 담임 제도 개선의 시급성을 지적하는 동시에, 대학 교원에 대한 인적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서둘러 마련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s university homeroom teacher system and faculty turnover through the lens of job motivation theory and a case study approach. Focusing on faculty members at G University in Shanxi who resigned after one to nine years of service, the research draws on interview data analyzed thematically using MAXQDA. Findings reveal that novice faculty often perceived the system as burdensome and intrusive, leading to impulsive resignations. Faculty with three to six years of experience regarded the system as restrictive, framing resignation as an act of personal liberation. Those with seven to nine years of experience faced increasing collaboration challenges and viewed resignation as a means of avoiding further strain. Although the homeroom teacher system was originally intended to support students, it now appears outdated and contributes to faculty attri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reform and stronger institutional support to enhance faculty development and reten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