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색채어 연구 -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Color Terms for Italian Learners : Focusing on the “Blue” Series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한국언어문화학
- 제22권 제3호
-
2025.09367 - 391 (25 pages)
-
DOI : 10.15652/ink.2025.22.3.367
- 9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이탈리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파란색’ 계열 색채어의 의미적 범주와 사용 양상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색채어가 매우 발달한 언어로, 접두사와 접미사의 결합, 색채어의 합성, 자음・모음의 교체 등을 통해 미세한 색의 차이는 물론 색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인식의 차이까지도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탈리아어 또한 한국어 못지않게 정교한 색채어 체계를 갖춘 언어이며, 미적 감각이 중시되는 문화적 배경 속에서 모국어 화자들은 색을 보다 명확하고 세밀하게 구분하여 표현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탈리아인 학습자들이 특히 ‘파란색’ 계열 색채어 사용에서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자주 관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언어의 ‘파란색’ 계열 색채어를 살펴봄으로써 이탈리아인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언어의 ‘파란색’ 계열 기본 색채어의 차이, ‘파란색’ 계열 기본 색채어의 발달 순서, 색채어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2-3, 367-392.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the “blue” series of color terms in Korean and Italian with the aim of improving understanding and the appropriate use of the semantic categories and usage patterns of Korean “blue” color terms among Italian learners of Korean. Korean has a highly developed system of color terms. Prefixes and suffixes, compounding, and consonant and vowel alternations are used to express not only subtle differences in shades of color but also nuanced distinctions in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color. Italian possesses a similarly sophisticated system of color terms. Additionally, because the Italian cultural background emphasizes the value of aesthetic sensibility, native speakers tend to distinguish and describe colors with great clarity and precision. However,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alian learners often experience confusion, particularly regarding the use of the “blue” series of color term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blue” series in both languages and analyzes the factors that tend to confuse Italian learners. The findings reve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regarding the basic color terms of the “blue” series and regarding the developmental order of those basic terms and their usage patterns.(Ca’foscari University of Venice)
1. 서론
2.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색채어 특징
3. ‘파란색’ 계열의 색채어
4.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