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도에 따른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by Elevation in Cheju Island

  • 80

본 연구는 제주도의 전체 지하수공 중 수역별로 대표성이 있는 150공을 선정하여 고도에 따른 수질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질특성의 평가는 물리·화학적 특성과 통계분석을 이용하였다. Piper diagram에 의한 수질 유형은 표고 50m이하 지역은 Na++K+-Cl- 형태를 보이고 있다. 50~100m에 위치한 지하수에서는 Na++K+-HCO₃-+CO₃2-형태와 일부 Na++K+-Cl- 형태의 군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100m이상의 지역에서는 Na++K+-HCO₃-+CO₃2-형태에 속하고 있다. 요인분석 결과, 50m이하와 100m이상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TDS와 오염물질 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50~100m 지역에서는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1에는 TDS함량으로 요인2는 오염의 영향과 광물용해로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요인3에는 HCO₃-함량으로 나타났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