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0170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후칠자의 수용과 조선중기 문원의 반향

A Study on Receiving Chon-hu-chil-ja and lnfluence on Lierary World in Middle Cho-son Dynasty

  • 231

이 논문은 명대 전후칠자의 문장과 문장론을 수용하였던 조선중기 문단 상황을 검토하고, 그 수용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수용에 대한 반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후칠자를 수용하게 되는 배경에는 사림파의 성장과 분화에 따른 기존의 문풍에 대한 대안모색, 중국의 문헌사조에 대한 연동적 변화 등의 요소가 깔려 있다. 사림파의 성장과 분화라는 요소는 조선중기에 정치적 주도충으로 성장한 사림파가 그들의 문학론을 시대에 맞게 변화시켜야할 필요성에 직면하여명대 전후칠자의 문학론을 수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의 문예사조에 대한 연동적 변화라는 요소는 전★의 위기를 타개할 외교상의 필요에의해 중국의 문장에 보조를 맞춘 문장상의 변모가 절박하고 심각한 과제로 등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