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성호 이익 관물시의 특징과 논리의식

  • 183
017039.jpg

우리는 성리학과 실학을 마치 별개의 것, 혹은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인식해 왔고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조선조학계의 주류는 당연 성리학이며, 실학은 이러한 주류를 바탕으로 그 장단을 취사하여 새로운 조류를 형성한 학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실학자로 평가되고 있는 성호 이익에 관한 연구 역시 성리학자로서의 면모를 중심에 두고 그의 실학자로서의 면모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리라 생각된다. 성호 이익의 관물시는 이러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재료이다. 관물시는 성리학자의 학적 태도의 특징에 의한 새로운 장르현상에 의해 발생한 하나의 문학장르이므로 성리학자라고 한다면 누구나 관물시가 없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 인물의 관물시를 살핀다는 것은 곧 성리학의 변화찾기와 거리재기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며, 그 변화와 거리는 곧 그 이물의 문학의 특징이 되는 것이다.

(0)

(0)

로딩중